학술논문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e Scale of the Staff in the University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석열(Suk-Yeol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7권 제3호, 73~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요인을 추출하여 확인하고 이에 대한 필요정도와 교육요구 정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첫째, 직업기초능력 요인의 추출은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요인은 자기관리, 문제해결, 의사소통, 인간관계, 정보 및 문서처리 등 다섯 개 영역으로 16개 구성요소였다. 하지만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구성요소에 대한 구인타당도를 구한 결과 자기관리와 문제해결이 함께 묶여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이에 대한 전체 신뢰도 Cronbach α계수는 .82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행정직원들의 업무필요 정도를 검토한 결과 전체적으로 3.51~4.04로 대체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요구 정도도 전체적으로 3.62~3.93으로 요구정도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 차이를 알아보았을 때, 직업기초능력의 업무필요 정도에서는 6급 이상이 7급 이하보다 기획력, 창의력, 의사결정능력, 리더십, 협상능력 등에서 더 필요하다고 느꼈고, 교육요구 정도에서는 6급 이상이 7급 이하보다 협상능력이 더 높았지만 정보검색 관리 능력은 오히려 7급 이하가 6급 이상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scale for staff s core competenc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First,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scale of core competence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such as self management,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human relationship,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cond, the tests of scale development procedures were the construct validity, the logical factors of items, and reliability. The Cronbach alpha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82.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t last confirmed 16 items of four variables. Third, the results of the needness application of the instruments appeared above all mean 3.5 on the sub-variables of staff s core competence. Also, the results of the education need analysis of the instruments appeared above all mean 3.6 on the sub-variables of staff s core compet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