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 영어교사 전문성 개발 탐색
이용수 280
- 영문명
- Exploring Teacher Expertise in Online Learning Communities for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 Case Study of the Indi-School Website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홍진의(Hong Jin Eui) 권태연(Kwon Tae Yeon) 송지선(Song Ji-sun) 정주은(Jung Ju-eun) 정혜영(Chung Hye Young)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2권 제5호, 339~3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영어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양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인디스쿨이라는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를 선정하여 초등 교사들이 공유하는 영어과 자료의 특징과 양상은 어떠한지, 이러한 온라인 교사 학습공동체가 초등 영어 교사전문성 신장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게시물 분석과 교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디스쿨은 초등 영어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뿐 아니라, 교사의 수업 재구성에 필요한 자료, 시기와 용도별 교사들의 수요와 학습자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자료들이 탑재되어 있었다. 초등 영어 교사들의 인디스쿨 자료 활용은 경력 그룹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교사 학습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초임 교사들은 인디스쿨을 <도제 체험> 방식을 통해 숙달을 경험 하였고, 저경력 교사들은 <문제 은행 활용> 방식으로 반성적 수업 실천을 수행하였다. 경력 교사들은 다양한 실천적 지식을 이미 가지고 있으면서 <전문가의 관람> 과정을 통해 최근 경향 탐색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여 실천적 지식의 형성과 전문성을 촉진하는 성찰 과정이 나타났다. 하지만 초임 교사일수록 인디스쿨에 대한 의존도는 높았고 경력 교사들에게는 신뢰가 낮았으며, 심화된 컨설팅 기능의 부재 등 한계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교직 경력 및 영어과 교수경력을 반영한 다양한 장학의 기회 제공과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오프라인 컨설팅 매칭 등에 대한 지원과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English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developed their expertise through an onlin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di school. To accomplish this aims,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the uploads were analyzed, and the teachers were interviewed about how the online community contributed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ndi School was equipped not only with material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but also resources that aided the teachers in adapting their lessons and addressed the teachers’ and students’ needs. Although the teachers differed in how they utilized these materials, the site was useful as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hile the novice teachers with less than one-year teaching experience tried to apply mastery with apprenticeship, teachers with one to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used the site as an item bank to reflect their lessons. The one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viewed the site as a gallery audience to check current trends. The less experienced were more reliant on the materials, whereas the more experienced perceived the stie with low trust as it lacked the function of providing in-depth consultations.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e necessity for providing offline consulting services as well as other scholarships that address the different experiences of teachers and support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