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유럽의 다문화사회 통합 전략 정책의 패러다임 이해에 대한 함의적인 이론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0

영문명
A Study on the Implicit Theory of Understanding the Paradigm of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Strategy Policy in Korea and Europe
발행기관
학습전략중재학회
저자명
김미희(Mi-Hee Kim)
간행물 정보
『학습전략중재연구』제9권 제2호, 33~5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2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세계 모든 국가들은 다문화사회를 형성하고 있어 다문화사회의 통합에 대한 함의적인 화두를 결국 다양성과 보편성의 그 어느 중간쯤 어디에 무게중심을 두어야 하는지에 관한 고민거리를 짊어지고 있다. 유럽 역시 이러한 고민을 안고 ‘다문화주의 모형(multi-cultural model)을 실시하였으나, 이러한 정책이 오히려 국제이주민들의 분리 및 정체성 이질화를 부추기 부작용을 가져왔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의 반성으로 유럽은 이주민들을 보호대상의 ‘집단’이 아니라 사회통합의 시민으로서의 ‘개인’의 의무를 강조하는 ‘시민통합모형(citizen integration model) 의 ‘적극적 시민권(active citizenship) 패러다임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이주민들에 대한 차별금지와 사회경제를 위한 근로시장의 적극적인 참여와 더불어 역사, 언어, 문화와 가치 등을 배우도록 하는 책임을 부과하였다. 유럽의 다양한 변천사의 다문화정책은 한국사회의 다문화정책 패러다임에 얼마만큼의 영향력을 주었나하는 것이다. 한국다문화의 형성은 유럽과는 달라 유럽의 이상향적인 다문화주의와 극단적인 프레임에 갇히지 않는 동화주의 그리고 그 사회의 맥락과 현실성을 고려한 적절한 모델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거듭해온 유럽의 다문화정책은 한국이 안고 있는 다문화사회에 궁극적인 또 다른 예시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 연구는 한국보다 오래 전부터 다문화사회를 겪어온 유럽의 다문화정책과 한국사회의 다문화정책에 관한 담론을 서로 비교하여 보고, 한국과 유럽의 다문화사회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다문화정책의 패러다임 변화의 물결은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는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At present, all countries in the world are forming a multicultural society. It has to bear in mind the midpoint of diversity and universality, where the emphasis should be centered. In Europe, multiculturalism model was implemented, but it was judged that this policy had a side effect of promoting separation and identity heterogeneity of international residents. This reflection of the social context changed Europe into a paradigm of citizen integration model (active citizenship) which emphasizes the duty of the individual as a citizen of social integration, not a group of protection. However, the format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s different from that in Europe, and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is only a few years, so we do not know where to focu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discourses on the multicultural policy of Europe, which has been experiencing a multicultural society for a long time before Korea, and the discourse on multicultural policy of the Korean society, and discusses how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and Europe is formed and the paradigm shift of multicultural policy I will examine the direction in which it flow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Change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and paradigm of international migrants
Ⅲ. From multiculturalism to interculturalism paradigm
Ⅳ.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희(Mi-Hee Kim). (2018).한국과 유럽의 다문화사회 통합 전략 정책의 패러다임 이해에 대한 함의적인 이론에 관한 연구. 학습전략중재연구, 9 (2), 33-51

MLA

김미희(Mi-Hee Kim). "한국과 유럽의 다문화사회 통합 전략 정책의 패러다임 이해에 대한 함의적인 이론에 관한 연구." 학습전략중재연구, 9.2(2018): 3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