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미술교사양성 수업 문화 사례 연구
이용수 99
- 영문명
- A Study on Instruction-Culture Case in Art Teachers Traning in America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노용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44호, 95~13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0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해방 이후 그 어느 때보다도 우수한 인재들이 교사교육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원양성기관은 일제침략기에 ‘사범학교’를 출발로 1962년 2년제 교육대학으로, 1983년에 다시 4년제 교육대학교로 승격되었다. 이러한 변천은 교사의 자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우리나라의 교사교육은 교육대학교, 사범대학교, 교육대학원 등의 교사양성기관에서 임용시험을 치루기 전에 받는 직전교육과, 학교에 교사로 임용된 후에 받는 재교육과정인 현직교육으로 나뉜다.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양성기관 또는 현직연수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재교육(자격연수, 직무연수, 특별연수)은 교사의 전문성 확보로 이어지고 교사의 자질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struction culture for th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at Florida State University through an analytical
case-study technique. First of all, it discussed about a meaning of instruction
culture, a cultural meaning of the art teachers training instruction, and a role &
meaning of this instructor as culture, and described on the art teachers education
program of FSU. And it analyzed on instruction culture of the major required
subject for th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at FSU and extracted four kinds as its
meaning, based on a record of instruction observation, a record of students'
observation on collaborative school, interview of targeting academic advisors,
collaborative teachers, and students, and other documents related to students'
assignments and instructions. It is the meaning construction, first through verbal
interaction, and second through drawing up diary. It is what is formed the inside
for practicing art education through the aesthetic meaning construction by
diary-writing activity simultaneously with expressing visual image on students' own
realistic life. Third, it is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critical exploration
activity. It is said that students form knowledge in life through critical thinking
that w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aesthetically exploring, expressing, and
critically discussing about a meaning on art and visual culture. Fourth, it is
acqui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Students promote
understanding about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expressing and discussing in
the critical perspective about a record of participant observation in art instruction
at collaborative elementary school and about a record of interview with
collaborative teachers. The meaning in this instruction culture is considered to be
possibly implication in improving instruction culture of art teachers training course
in our count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