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미술교육에서 그림자놀이의 미학적 의미와 활용방안
이용수 97
- 영문명
- The aesthetic meanings of Shadow Play and its application in Traditional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아,이주원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44호, 45~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빛과 그림자를 이용하여 공간속에 실루엣의 이미지들을 투사하는 방식의 예술양식인 그림자놀이는 거의 모든 문명에 걸쳐 세계적으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이에 관한 최초 기록들을 동양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중국 한(漢) 무제(武帝)때인 기원전 121년에 이미 그림자놀이에 관한 기록이 나타난다(진중권, 2005: 99). 본 연구에서는 동양에서부터 기원한 전통 그림자놀이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빛과 형의 조형요소에 대한 동양미학의 사상적 접근을 시도하여 미술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for the way to exp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by teaching Shadow Play based on oriental
aesthetics. The historical literature manifests that the screen in Shadow Play
creates the space filled with light and at the same time empty with nothing. Thus,
it is a conceptual space in which symbolic objects can appear, act, and disappear.
These artistic elements embody the oriental aesthetics that values emptiness,
spirituality, and transparency in traditional art. In order to extend this historical
and aesthetic investig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concrete way to utilize tradition
Shadow Play in art education. The process of making the screen and objects for
Shadow Play is elaborated so as to visualize how Shadow Play can be taught as
means of teaching the value and meanings of traditional art. As conclusion, the art
educational implication of Shadow Play is discussed in two aspects. First, Shadow
Play can be a significant method in art education because it connects life with art,
tradition with contemporary, and the oriental with the western. Second, by utilizing
Shadow Play, art teachers can make traditional art more familiar and interesting to
students who may feel tradition as remote and eccentric.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