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아개념과 교우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64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s of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강영숙, 고성자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3호, 925~9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아개념과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과 교우관계 경험은
이후 개인의 행복과 성격형성, 사회성 발달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고학년 미술 및 도덕교과를 재구
성하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구안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경기도 소재 S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 중 자아개념 수준이 비슷한 14명을 선정한 후 각 7명씩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에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15회기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후 자아개념과 교
우관계에서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거두었다. K-HTP, KSD에서도 실험집단이 전체적인 그림의 특징, 상호작
용수준, 협력수준, 얼굴표정 면에서 사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구안한 집단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자아개념과 교우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지역과 학
년을 확대?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일반화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and peer relationship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at program.
Positive self-concept formation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upper elementary school are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thereafter, they affect one’s happiness, personality formation, and sociality development. Accordingly, a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reconstruction of art and moral subjects in an upper elementary school. And
Then, it was applied to participants and examined its effectiveness was measured. Participants were 14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ey included 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in
the controlled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self-concepts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K-HTP and KSD evaluation showed that the overall picture's features, level of interaction, level
of cooperation,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people in the participants’ drawing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and peer relationships. It seems
important for future research to test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미술치료가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 감소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모자화 반응특성과 애착에 관한 연구
- 미술재활프로그램이 위기아동과 양육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청소년의 대인문제해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을 통한 자기 돌봄 체험연구
- 재혼가정 내 불안정애착 유아와 모의 미술치료사례
- 인형 만들기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미혼모의 애착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또래괴롭힘 참여행동 변화 및 학교생활만족도 증가를 위해 창의적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한 학급단위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심리평가를 활용한 심리치료 개입의 종단적 단일 사례 연구: 로르샤하 검사를 이용한 미술작품과 치료적 평가
- 미술치료가 교통사고 PTSD 아동의 PTSD 증상과 불안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아개념과 교우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풍경구성기법(LMT)에 표현된 상징적 의미와 심리 특성
- 가정폭력피해 청소년의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사례
- 성인 남성의 성몰입, 공격성 및 적대감, 철회에 관한 연구 -성범죄, 일반범죄, 일반 성인 집단간 비교를 중심으로 -
- 도예작업을 통한 모자(母子) 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공격성과 모자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성인의 모자화 타당화 연구
- 미혼모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