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감소와 부모-자녀 간 관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505
- 영문명
- An Art Therapy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an Adolescent from a Divorced Family and the Improvement in Parent-child Relationship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최정인,김상철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2호, 503~52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15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혼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S시 G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 청소년으로 높은 우울 성향을 보인
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4년 4월 7일과 2014년 4월 8일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2014년 4월 14일 ~ 2014
년 9월 25일까지 1회 60분으로 총 15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는 2014년 9월 30일에 실시하였다. 우울과
자아존중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검사(KMPI 간편형 검사도구),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 행동변화, 가
계도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자아존중감 변화
양상에서 우울점수가 50점 감소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67점이 증가하였다. 둘째,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에서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셋째, 행동관찰에 의한 변화 양상에서는 원만한 교우관계
등으로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알 수 있었다. 넷째, 가계도 변화 양상에서 가족 간의 친밀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우울감소 및 자아존중감 향
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art therapy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an
adolescent from a divorced family.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second year female student who
showed a high tendency of depression. She was attending a high school in an urban setting. After a pretest
was given on April 7th and 8th, 2014, the participant received a total of 15 art therapy sessions from April
14th, 2014 through September 25th, 2014. Each session lasted one hour. A posttest was given on September
30th, 2014. For an analysis, a questionnaire (a mini version of KMPI), the House-Tree-Person test, behavior
change, and the family tree test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y program
for a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ecrease of 50 points in the depression
was found along with an increase of 67 points in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Second, the
House-Tree-Person test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Third, the analysis of
behavior change showed good peer relationship, an indication of a positive change i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Fourth, the family tree test showed family intimacy impro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 from a divorced fami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류분석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전업주부의 양육태도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자기고백미술의 치유성: 루이즈 부르주아와 트레이시 에민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체험 연구
- 진행외상 여대생의 미술치료를 통한 죄책감 완화와 자기용서 사례연구
-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 청소년 미술치료사의 치료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
- 적극적 부모역할(AP) 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감소와 부모-자녀 간 관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불안정애착 청소년의 미술작품 속 이미지에 대한 대상 관계적 해석
- 알코올 중독자의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 MI이론을 적용한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아동의 다중지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청소년의 진로탐색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명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HIV/AIDS감염인의 실존적 삶의 의미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