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15

영문명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Psychocybernetic Model on the Anxiety and Self-esteem for Elderly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박선영,김선희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1권 제1호, 165~18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psychocybernetic)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경로당 2곳과 노인복지관 1곳의 한국 형치매진단척도(K-MMSE) 24점 이상인 노인 68명을 모집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5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 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으로 나누고 사전질문 후,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6주간 주 2회 12회기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Nucho(2003)가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바탕으로 제안한 네 단계를 따라,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상태특성불안척도와 자아존중감척 도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모두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연구자가 두 집단에게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사전-사 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 다.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성불안척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 며,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불안을 감소시켰으며,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입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effective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sychocybernetic model can be on the anxiety and self esteem for elderly. In order to proceed the research, the study selected from the elderly who are at 2 senior citizen center and 1 senior welfare center in Gyeonggi-do marked over 24 cut-off score on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K-MMSE). 68 elderly people were collected, but finally 51 people was us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EG) were 25 people and the control group(CG) were 26 people. And examined pre and post test, For the EG, the CG art therapy using psychocybernetic model were conducted twice a week which made the elderly get involved in 12 group art therapies in total. Both of the EG and the CG were examined Stat-Trait Anxiety scale & Rosenburg Self-esteem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 provided for elderly the program of 4 phase of psychocybernetic model. I used by creative Art studio that Kim(2013) suggested a value-conscious art. Fir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both group were equivalent in these levels of anxiety and self-esteem before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anges scores for state anxiety scale and trait anxiety scale between the EG and the CG. Participants in the EG reported a greater decrease in both state and trait anxiety after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CG.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ange scores for Rosenburg Self-Esteem Scale between the EG and CG. Participants in the EG reported a greater increase in self-esteem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CG. In conclus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sychocybernetic model showed the value to decrease on the anxiety and to improve the self-esteem for elder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영,김선희. (2014).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1 (1), 165-182

MLA

박선영,김선희.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1.1(2014): 165-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