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프로그램이 성인의 자기개방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90
- 영문명
- The Effect of Art Therapy Program on Adult' s Self-ex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정현희,한정혜,홍순영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6권 제2호, 57~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1.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은 산업화, 기계화된 사회에서 물질적인 풍요함을 누리고 살아가고 있으나 그러한 물질적 풍요함에 비해서 심리적 정신적으로는 오히려 더 많은 문제를 갖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인간관계에서 상처받고 고독한 자아 상실을 초래하게 하는 등, 건전한 자아의식을 갖지 못하여, 인간은 자신의 진실된 모습을 나타내지 못하고 피상적 또는 가식적인 모습으로 나타내어 친구들과의 진실한 인간관계를 맺지 못한다.
영문 초록
This case-study attempted to improve adult' s self-expression by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group members consisted of 10 women. There were 12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60 minutes.
HTP and LMT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any changes of the self-expression At the first, 3rd, 10th and 11th s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cas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ll group members showed the self- expression improvement through HTP and LMT.
Second, all group members were able to have the positive self-concept change.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group memb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동적가족화(KFD)에 의한 가족지각에 관한 연구
- 만성 정신분열병 입원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요법의 적용
- 문화의 다양성 : 뉴욕의 미술 심리 치료
- 정상 및 정신질환 청소년의 동적가족화를 통한 부모지각에 대한 비교 연구
- 만성적인 정신분열증 환자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성학대 받은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 누드의 미술사적 조망
-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위축아동의 위축행동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부모 사별경험 유무에 따른 동작성 가족화(K-F-D)검사의 인물상의 특징, 활동내용, 스타일 반응연구
- 집단미술프로그램이 성인의 자기개방에 미치는 효과
- 학교 부적응 학생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