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품행장애 아동의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835
- 영문명
- A Case Study on Family Art Therapy in a Child of Conduct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최외선,최선남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5권 제2호, 63~7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1.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SM-III에 의 하면 품행장애란 “타인의 기본적인 권리 혹은 연령에 적합한 주요 사회적 규범이나 규칙을 어기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행동패턴”으로 정의 되어 있다. 품행장애는 사회적 친화성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공격적 행위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별된다. 그것은 사회화되지 않은 공격형, 사회화되지 않은 비공격형, 사회화된 공격형, 사회화된 비공격형 등이다. “사회화 된” 품행장애아란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동료집단과의 교우관계를 가지면서 이러한 친구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넓혀 가는 경우를 말하며, “사회화되지 않은”이란 동료 집단과의 유대관계가 없는 것을 뜻한다 사람 또는 재산에 대한 물리적인 폭력은 공격적인 행위로 간주되며, 무단결석·도망·빈번한 거짓말 등은 공격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영문 초록
This case study is to intervene crisis family with a child who has a conduct disorder.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art therapy were reviewed. IP is a girl who is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Her family are also invited in therapy session The therapy is consisted of 18 sessions. The focusing techniques are to express child's emotion through art activities and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child.
There are many positive changes of their relationships and less maladaptive behaviors. Thus, it suggested that famìly interventions through art therapy can be practically usefu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기이해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사례
- 품행장애 아동의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도벽아동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의한 접근방법이 부적응 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 반응성 애착 장애 아동의 일례를 중심으로
- 정서 · 학습장애아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그림(KSD)에 관한 연구
- 청소년들의 자존감 향상 및 일탈행위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술치료가 가출 청소년의 가정 복귀에 미치는 효과
- 자신감이 결여된 아동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함양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분노와 적개심을 지닌 아동의 미술치료 효과
- Grimm 설화의 해석을 통한 무의식 고찰
- 뇌성마비아의 도형-배경 색상선호에 따른 시지각 능력
- 미술치료에서의 만다라
-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개방에 미치는 일 사례연구
- 편모가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모형개발
- 정신분열증 환자의 회화요법 및 회화상 특징
- 아동외상과 미술치료
-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학교 학생의 의복색 선호도와 성격 특성 관계
-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묘화에 의한 유아-어머니 관계와 유아의 또래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