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그림(KSD)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oci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in Prim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동연,최외선,오미나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5권 제2호, 299~3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1.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성이란 일반적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규범과 역할에 적응해 가는 능력으로, 2인 이상이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가운데 사회적 행동이 내재화된 것이며, 후천적으로 환경을 통한 경험에 의해 형성된 습관이나 사회적 행동의 근본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은 학교생활을 통하여 또래와의 인간관계에서 자신을 발견하며 사회에 필요한 기능과 태도를 배우게 되는 것으로, 인간생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의 사회적 행동은 공격성과 친사회척 행동으로 나눌 수 있다. 공격성은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육체적 또는 심리적인 해를 끼치는 행동을 말하며, 친사회적 행동은 외적 보상을 기대하지 않고 다른 사랑이나 집단에 이익이나 도움을 주려는 행동이다(Bandura. 1973).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 ate the difference of sociability of primary school childre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ìnetic School Drawìng and to make use of the resul ts to provide some helpful information for the guidance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852 primary school children of both sexes (443 boys. 406 girls) in Taegu Metropolitan City.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A4 paper for the KSD. pencils.
erasers and questionnaires to investig ate the sociability. The data were anal 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factor anal ysis, oneway analysis of varìance and Scheffe’s test
The fol l owing concl 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he level of sociability was estimated average. and appeared in the order of social skills. carefullness, cooperation, positivity.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bility of both sexes.
Second. the level of sociability appeared higher the group of withoutomission than omission in both sexes.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bility of children and omission of teacher and friend in kinetic school drawing.
Third. the level of sociability appeared híg her the group of over 90mm than 2-38mm in size of figures. the level of sociability appeared hig her the group of over 85mm than 2-35mm in size of friend figure.
Fourth. figure ascend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g ures of self teacher and friend
Fifth. the l evel of sociability appeared hig her the group of the side than the front in figure dire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gures of teacher in case of school girls.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ixth. the level of sociability appeared hig her the group of short than long in distance between figures.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ícant differences in case of school boys.
Seventh.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기이해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사례
- 품행장애 아동의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도벽아동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의한 접근방법이 부적응 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 반응성 애착 장애 아동의 일례를 중심으로
- 정서 · 학습장애아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그림(KSD)에 관한 연구
- 청소년들의 자존감 향상 및 일탈행위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술치료가 가출 청소년의 가정 복귀에 미치는 효과
- 자신감이 결여된 아동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함양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분노와 적개심을 지닌 아동의 미술치료 효과
- Grimm 설화의 해석을 통한 무의식 고찰
- 뇌성마비아의 도형-배경 색상선호에 따른 시지각 능력
- 미술치료에서의 만다라
-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개방에 미치는 일 사례연구
- 편모가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모형개발
- 정신분열증 환자의 회화요법 및 회화상 특징
- 아동외상과 미술치료
-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학교 학생의 의복색 선호도와 성격 특성 관계
-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묘화에 의한 유아-어머니 관계와 유아의 또래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