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84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정은이,박용한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1권 제2호, 69~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 현실에 적합한 대학 적응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분석과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적응 관련 척도들을 분석하여 대학 적응의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문항을 제작하고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및 본 검사는 서울, 경기, 충남, 전북 지역의 대학생 8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755명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최종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고,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대인관계, 학업활동, 진로준비, 개인심리, 사회체험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된 총 19개 문항의 대학 적응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 적응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86으로 나타나 신뢰로운척도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발된 척도의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부합도 지수들이 적절하게 나타나 본 척도가 대학 적응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검증해 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which reflecte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education in Korea ,and to validate the scale.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first extracted preliminary constructs of college adaptation by reviewing related research and analyzing existing scales. The sample for this study included 820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three other provinces, and the data of 755 students out of the total sample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scale was tested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esented the scale of 19 items from five constructs: interpersonal relations, academic activities, career preparation, personal psychology,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scale was good (alpha=.86). The fit indice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showed the structural goodness of suggested constructs in the scal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읽기 전략 교수가 중학생의 읽기 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강의평가 실태조사를 통한 강의평가 개선 방향 연구
- ‘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대학에서의 수업사례
- 초등학교 사회과 문제해결학습을 위한 블렌디드 Jigsaw 모형 개발
-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연구 ― 예체능 과정 설치를 중심으로 ―
- 교사유머의 주요 유형과 유머의 목적?소재?표현 방식에 따른 성공과 실패의 차이 분석
-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 표현에서의 용언 사용
- 자폐 스펙트럼장애(ASD)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화용언어와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 간의 연관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