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산층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중산층 학부모들의 자녀교육문화: 분당구 사례
이용수 630
- 영문명
- Child education cultures in a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 A case of Boondang-Gu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김미숙,상종열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25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산층 밀집지역인 분당구의 중학생 학부모들의 자녀교육문화를 탐구하였다.
분당의 주류문화는 자녀의 명문대 진학을 위해 자녀의 성적, 시간, 교육, 교우관계 등을 체
계적으로 관리하는 “자녀관리”문화다. 이들은 자녀에게 중산층 지위를 세습시키기 위해서 욕
망과 습속이 유사한 사람들 또는 자녀의 지위 향상에 유익한 사람들로 모임을 제한하고 그
외의 사람들을 배제한다. 하지만 일부 부유한 자영업자나 사업가 또는 상속자들은 자녀의
명문대 진학에 덜 집착하였으며, 학력 외에도 경제력, 사회성, 즐기는 삶에 가치를 두었다.
한편 일부 중산층 학부모들은 주류문화인 경쟁적 입시지원보다는 자기주도 학습, 체험, 개
성, 공동체의식, 민주적 학교문화 창출에 가치를 두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와 달리, 우리
사회의 중산층이 획일적인 입시중심의 자녀지원문화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자녀
교육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위 획득과 유지 과정에서 학력이 얼마나 중
요한가에 대한 인식, 교육적 가치와 행복의 기준, 그리고 대안적 교육정책의 실행에 따라서
도 중산층의 자녀교육문화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 effect and child education of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junior high schools in Boondang-Gu, Seongnam city where middle class
residents congregate. We do this by interviewing 21 peoples (16 parents, 2 teachers, a
head-officer in child welfare center, the director of a private institute, a consultant of a private
institute). Many middle class parents in Bonndang devote to child management that parents
systematically plan and monitor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extra curriculum
activities, friends, and time in order for them to go to top colleges. However there are some
parents who are not very eager to their children's entering into top colleges. There are wealthy
parents who engage in self-employment or businesses or those who inherit considerable wealth
from ancestors. Or some parents who are partly influenced by innovative education policy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ry to mak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oriented
education into schooling that care for all children's various abilities, experiences, interests and
dreams. This implies that even same middle class people construct different child education
cultur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critical capital that contributes to acquiring and maintaining
their current social status, the meaning of happiness and schooling, and state polici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