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매개과정과 상호작용효과

이용수  511

영문명
The effect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on the levels of children’s occupational aspiration: focusing on the mediation process and interaction effect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김진영,유백산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5권 제2호, 23~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인이행기의 직업포부는 향후 사회경제적 성공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데, 한국사회에서 이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해 일정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다섯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이러한 부모의 다양한 지위가 고교 3학년 학생의 직업포부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확인하고, 그러한 관계를 매개하거나 조절하는 요인 으로 부모의 교육기대와 자녀 학업성취의 역할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패널 4차년도와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상호작용 효 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력, 직업지위, 소득수준이 자녀의 직업포부, 자녀에 대한 교육기대 그리고 학업성취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 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회적 지위와 자녀의 직업포부의 관계가 부모의 교육기대와 학업성 적에 의해 실질적으로 매개되고 있음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셋째, 아버지의 학력과 자녀의 학업성취는 자녀의 직업포부를 증폭시키는 상호작용효과를 보였고, 어머니의 직업지위와 자녀의 학업성취는 자녀의 직업포부에 대한 상호대체적인 상호작용효과를 보였 다.

영문 초록

Students’ levels of occupational aspiration during the transition toward adulthood is a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in their future socio-economic success. However, there is a likelihood that students’ levels of occupational aspiration in South Korea could be substantially influenced by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ES). Classifying by five dimensions of parents’ SE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SES with their children’s levels of occupational aspiration, and the roles of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s mediation or interaction variables.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2006-2007), this study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and interact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broad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that parents’ occupational status and their education and income levels were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children’s occupational aspiration. Secondly, the SEM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SES and children’s occupational aspiration were mediated by the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Lastly, fathers’ education levels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teraction effect on the levels of children’s occupational aspiration. The negative interaction effect on the children’s levels of occupational aspiration, in addition, was found between mo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영,유백산. (2015).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매개과정과 상호작용효과. 교육사회학연구, 25 (2), 23-46

MLA

김진영,유백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매개과정과 상호작용효과." 교육사회학연구, 25.2(2015): 2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