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화조건과 사회화동질집단 ― 사회구조적 관점의 사회화연구에 대한 새로운 고찰 ―
이용수 49
- 영문명
-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nd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A New Socialstructural Study for Family Soci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황석규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14권 제3호, 207~2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화조건과 사회화동질집단의 연구는 계층적 그리고 초기 사회구조적 관점의 사회화연구에 대한 발
전을 모색하는 새로운 시도이다. 이 시도는 사회계층이 직접적으로 부모의 자녀양육행위를 결정한다는
계층적 관점의 사회화연구를 비판하면서 시작된다. 또한 초기 사회구조적 관점의 사회화연구는 직업경험
과 인적자본에 입각하여 부모의 지각적 의식체계형성과 자녀양육행위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 새로운 시도는 부모의 다양한 사회화조건으로 경제, 사회, 문화자본을 고려함과 더불어 자
녀양육행위를 매개하는 집단으로서 부모양육의식에 근거한 사회화동질집단을 제시하고, 각각의 상이한
자녀양육행위 형태를 보여줄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즉 전형적인 3가지 사회화동질집단(개인주의,
가족주의, 전통주의)의 부모들은 자녀양육을 위해 자신들이 지향하는 의식들과 자녀양육행위에 차이를 보
여준다.
영문 초록
My study on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nd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aims to indicate an
new alternative try at the class specific form of socialization and the sociostructural form of
socialization.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s the cause of parental consciousness and activities contain
objective vertical, horizontal, human and cultural resource of social inequal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nd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is not direct homogeneity
but indirect heterogeneity. Parental educational activities are not directly determined by conditions of
socialization.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re, however, the basis of the par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communication.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are defines by typical syndrome of
educational values, of parent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educational activities are variously differentiat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효과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 현대 자본주의사회의 업무 탈기술화와 과잉교육의 역설적 관계에 대한 탐구
- 사회화조건과 사회화동질집단 ― 사회구조적 관점의 사회화연구에 대한 새로운 고찰 ―
- ‘합리적 대화’를 넘어 ‘차이 배우기’로 ―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의 교육학적 의미지평 탐색 ―
- 교육공간으로서 강남(江南) 읽기 ― 교육정책에 주는 함의 ―
- 집단 따돌림 담론을 통해 본 청소년 주체형성과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위기와 학교의 구조적 혁신 과제
- 미국 사립대학 이사회의 특성
- 중등학생의 중퇴 방지를 위한 사회 자본론적 접근에 대한 연구
- 왜 장래 직업을 희망하지 않는가 ― 고등학생들의 직업미결정성향 분석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