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동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실패공포 및 정서조절양식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92
- 영문명
- The Effects of Passive Procrastination Overcoming Program on Self Efficacy, Fear of Failure,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소혜련 이문희 이영순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0권 제1호, 133~1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동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동지연행동, 자기효능감, 실패공포, 정서조절양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하는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수동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배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에게 일반적 지연행동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실패공포 척도, 정서조절양식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및 3주 추적검사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동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수동지연행동이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추적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은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추적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또한 실패공포,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만이 추적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볼 때 수동지연행동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에게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ssive procrastination overcoming program on passive procrastination, self efficacy, fear of failure, emotion regul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0 university students who live in Chonbuk Province. 10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For this purpose, all participants completed General Procrastination(GP), Self-Efficacy Scale, 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PFAI),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to verify the paired t-test for the pre-, postand 3-week follow-up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assive procrastination, fear of failure, avoidant emotion regul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elf 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 effects were maintained at 3-week follow-up, leaving out fear of failure.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seen as an effective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suffering from passive procrastinat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나리오쓰기의 치료적 효과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가해 및 피해 행동과 방관자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수동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실패공포 및 정서조절양식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선별도구로서 ‘빗속의 사람(PITR)’ 그림 활용 가능성 연구
- 단회기 치료적 그룹음악활동이 심사업무 종사자들의 불안, 우울, 신체적 스트레스 그리고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 병사가 지각하는 군 생활 적응행동과 부적응행동: CQR-M 분석을 중심으로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개인 상담수퍼비전 참여 경험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