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초연기력 평가기준 확립을 위한 제언
이용수 94
- 영문명
- Proposal for an evaluation standard establishment for basic act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오세곤(Oh Sekon) 이연심(Lee Yeonsim)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13호, 41~7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ring training process of actor, an evaluation standard establishment is certainly needed. However, we
do not have an established standard yet in Korea. This manuscript carried out a mock evaluation after
basic speech and basic movement method of measurement preparation to would-be actors. And the
appointed performance evaluation as same as an actual practical skill evaluation to the same student was
executed. After analysis of two result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 basic acting ability result and
appointed performance evaluation mostly. In other words, the basic acting ability evaluation standard proves
its effectiveness. Only just the pronounce doesn’t have a correlation among the speech but after question
analysis, it turns out that the evaluation contents for both test are different. Therefore, it needs revis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현행 입시평가
1. 입시실기 평가방법
2. 문제점
Ⅲ. 연기실기모의평가 결과 분석
1. 분석 설계
2. 분석 결과
1) 모의평가 설계
2) 분석 방법 설계
Ⅳ. 기초연기력 평가기준 확립을 위한 제언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