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험 시기에 따른 임상수행능력평가 점수 비교 - 2005년도 서울․경기 컨소시엄 참여 6개 대학 -
이용수 7
-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Scor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esting Time - Six Medical Schools in Seoul․Gyeonggi CPX Consortium 2005 -
- 발행기관
- 한국의학교육학회
- 저자명
- 한재진(Jae -Jin Han) 박혜숙(Hyesook Park) 권복규(Ivo Kwon) 유경하(Kyung-Ha Ryu) 어은경(Eunkyung Eo) 김나진(Najin Kim)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제19권 제1호, 31~3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Ps) is an acceptable method of testing medical professionals, but there has been some concerns about security.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examine whether the day of the examination influences the scores of examinees of different medical schools at different times throughout the examination period.
Methods: Six medical schools, which had participated in the Seoul-Gyeonggi CPX Consortium 2005, were enrolled. Each station, controlled by the same regulations, included 12 minutes of SP encounter and 5 minutes of writing a short essay. We compared the mean scores using ANOVA and linear trends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SPSS version 11.0.
Results: The mean score of examinees from all 6 medical schools was 63.2±6.9.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mean scores among the medical schools according to the period when CPX was conducted. Classified by their examination day,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mean scores of the 1st, 2nd, and 3rd day, but in one school where the examination was performed for 5 days, the mean scores of the 4th day was higher than the others (p<0.05). There were trends of linear increases over the five days for the ‘physical examination’question, but not for ‘physician-patient interaction’and ‘patient education’.
Conclusion: The changes in scores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day in this study did not show consistent results. However, the variable results seen according to school, test question, and examination day need further analysis for test security issues.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의학교육 : 과제와 전망
-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 간의 1학년 학업성취도 비교
- 내과 임상실습에서 문제바탕학습 (Problem-based Learning)을 응용한 항생제 교육
- 진료수행시험에서 시험 시간 경과에 따른 표준화 환자 채점의 정확도 분석
- 의사 양성 정책
- 진료수행평가에서 증례 유형과 표준화 환자 성별이 학생 성적에 미치는 영향
- 시험 시기에 따른 임상수행능력평가 점수 비교 - 2005년도 서울․경기 컨소시엄 참여 6개 대학 -
- 인턴 업무를 수행하는 학생 인턴제의 시행 경험
- 의과대학생들의 학업동기,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성적에 대한 지각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