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커플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국내 상담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973
- 영문명
- Trends in Couple-Therapy Research in Domestic-Counseling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최빛내(Bit-Nae Choi) 최우정(Woo-Jung Choi) 최연실(Younshil Choi)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6권 제2호, 301~3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까지 국내 상담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커플치료와 관련한 논문을 고찰하
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술검색사이트인 riss.kr
에서 KCI 등재 연구 총 186편을 선정하여 해당 논문을 연도별 발표추세, 학문영역, 연구주제, 치료이
론 및 기법, 연구방법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플치료 연구는 1995년을
기점으로 매년 20%이상씩 증가하여 양적으로 성장해 온 경향을 보였다. 둘째, 커플치료 연구는 가족
치료, 심리학, 상담학 분야에서 주로 발표되었다. 셋째, 커플치료의 연구주제는 부부의 문제 상황, 의
학적 특성, 정신적 요인, 가족주기 관련요인, 특수 가족문제로 대별되었다. 넷째, 커플치료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한 치료이론 및 기법은 통합적 접근, 사티어의 경험적 접근, 보웬의 다세대적 접근,
이마고치료, 미술치료 등이었다. 다섯째, 커플치료의 연구방법은 개입연구(성과연구, 사례연구)와 비개
입 연구(경험연구, 문헌연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의 커플치료 연구 현황을 파악
함으로써, 커플치료에서의 효과적인 임상개입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정보 제공과 기초자료 축적의 의
의를 지니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by reviewing articles related to
couple therapy in Korean counseling journals through 2016. Methods: A total of 186 KCI–listed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scholarly search site riss.kr.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yearly trends, academic areas, research topics, therapy theories and techniques, and research
methods. Results: First, couple-therapy studies grew quantitatively by more than 20% every year, starting
in 1995. Second, couple-therapy research was mainly presented in the academic fields of family therapy,
psychology, and counseling. Third, couple-therapy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married couples’
problem situations, medical characteristics, mental factors, family-cycle related factors, and problems in
special families. Fourth, the therapeutic theories and techniques used in couple-therapy studies included
integrated approaches, Satir’s empirical approach, Bowen s multi–generational approach, Imago therapy,
and art therapy. Fifth, research methods included both intervention studies (outcome and case studies) and
non–intervention studies (empirical research and reference review studie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of couple-therapy research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