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암 환자 가족돌봄자의 희망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가족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600
- 영문명
- Hope and Post-traumatic Growth in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Focusing on Family Func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최보라(Bo Ra Choi) 장석진(Seok Jin Chang)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6권 제2호, 253~2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암은 한 개인에게 있어서 생존에 위협을 가하는 질병으로 그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외상 경험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환자뿐만 아니라 암 환자 가족에게도 직접․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과거에는 병리적 관점에서 부정적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최근 외상 후 성장
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가 제시되면서 암에 대해서도 긍정적 변화를 검증하여 보다 총체적으로 살
펴보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암 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 고통에 초점
을 두었던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암 경험 속에서 얻게 되는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을 검토하고자,
암 환자 가족돌봄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희망, 가족기능, 외상 후 성장과의 관
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암 환자 가족돌봄자의 희망,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
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암 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을 증진하기
위한 가족치료 및 상담적 접근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는 암 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에서, 암 환자 가족돌봄
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더불어 희망, 가족기능과 같은 긍정적 변인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검
증함으로써 외상 후 성장에 대한 다면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ositive changes and growth in the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Methods: 179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is study. Measures included
scales of hope, family func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Result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rrelations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caregiving spouses of patients, depending on
the clinical stage of the cance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factors.
Second,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hope of family caregivers, family func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pe of family caregivers and their
post-traumatic growth, the mediated effect of family function was detected. Finally, family function was
confirmed as par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pe of family caregivers and their post-traumatic growth.
This increased the validity of the study model. Conclusions: This empirical study offers primary data to
help develop family therapy, consult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