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료 저항성 환청을 나타내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측두두정부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의 효과
이용수 18
- 영문명
- Effects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o Temporoparietal Cortex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with Treatment-Resistant Auditory Hallucination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정경희 최충식 박진수 이규항 함웅 이승환 채정호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3권 제5호, 546~55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It has been reported that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which stimulate the focal region of brain may relieve auditory hallucination in patient with schizophrenia.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TMS on left and right temporoparietal cortex i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auditory hallucination.
Methods:Twenty-six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with treatment -resistant auditory hallucination were randomly allocated to rTMS group on left and right temporoparietal head regions. The rTMS was applied to TP3/4 region by EEG 10-20 international system at 1 Hz for 20 minutes per day for 10 treatment days. A Figure of eight TMS coil with a solid core was used for rTMS at 100% of individual motor threshold. Efficacy was evaluated with Auditory Hallucination Rating Scale (HRS),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Scale (PANSS),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Scale on 5 and 10 days of treatment.
Results:Ten days administration of 1-Hz rTMS to temporoparietal cortex significant improved frequency (p<0.001) and
attentional salience (p=0.038) of auditory hallucination, positive (p<0.001) and negative symptom (p=0.02), and CGI-improvement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 stimulations.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frequency rTMS on temporoparietal cortex may be useful in treating schizophrenic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auditory hallucination and it could be a useful novel treatment option.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4 IPA Asia Pacific Regional Meeting
- 저빈도 반복성 경두개 자기자극이 정상인의 시각적 단기 기억에 미치는 영향
- 가족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임상 특성의 가족내 연관성
- 2004 세계생물정신의학회 아시아·태평양 학술대회 및 제 41 차 대한생물정신의학회 학술회의
- 치료 저항성 환청을 나타내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측두두정부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의 효과
- Capsaicin 투여가 C57BL/6형 생쥐의 알코올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Seoul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를 이용한 해독된 알코올 환자의 신경심리기능
- 한국 이민 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 한국판 Neuropsychiatric Inventory로 본 치매 단계에 따른 행동·정신증상 특징
- 양극성 장애와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유전자 다형성
- 강박장애 환자의 인지기능이상에 대한 2년 추적 연구
- 알코올 금단 섬망 발생의 예측
- 감정 연구용 얼굴 표정 영상 개발 및 예비 표준화
- 도정신치료와 서양정신치료 국제포럼
- 리스페리돈으로 무월경이 발생한 여자 정신분열병 환자의 우울, 불안,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적 특성과의 관계
- 정신분열병과 Glutathione S-Transferase M1유전자 다형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