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정기 양극성 장애환자의 얼굴자극에 대한 주의력 유지과제에서의 결핍 특성
이용수 4
- 영문명
- Attention Deficits of Euthymic Bipolar Patients in the Sustained Attention to Response Task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황성식 전덕인 조현상 김세주 박진영 전재영 석정호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6권 제3호, 229~2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Euthymic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have been reported to show deficits in sustained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ttention capacities of euthymic bipolar patients with those of control subjects using the sustained attention to response task (SAR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SART related to the type of the stimulus.
Methods:The four SART tasks were performed to measure attention capacities in 42 euthymic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nd 28 control subjects. Happy, neutral, fearful faces and digit ‘3’ were used as target stimuli in happy, neutral, fear and digit task conditions, respectively. The severity of mood symptoms was assessed with 17-item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ve symptoms and Young Mania Rating Scale for manic symptoms. The efficiency estimate which reflects both the response accuracy and speed was used as the main outcome variable.
Results:Bipolar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correct response rate than control group in all task conditions. Efficiency estimates of the bipolar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SART using facial stimuli, but not in the digit task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performances related to the emotional categories of facial stimuli.
Conclusion:Bipolar patients showed deficits in sustained attention even in the euthymic state. The attention deficits shown in the euthymic bipolar patients may be prominent in a more complex task condition with stimuli such as facial stimuli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인구에서 ApoE 유전자형에 따른 머리둘레와 인지기능간의 연관성
- 정신분열병 환자의 아동기 신체, 성학대와 MMPI 특성
- Ziprasidone의 자연적 임상경험에 대한 후향적 조사 연구:3개 대학병원의 경험
- Olanzapine에 의해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진행한 환자 1예
-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뇌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따른 정신증상, 신경인지기능 및 삶의 질
- 한국어판 정신증상평가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 자살행동의 소인과 생물학적 인자의 관련
-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지속적인 구토증과 Wernicke 뇌병증
- 안정기 양극성 장애환자의 얼굴자극에 대한 주의력 유지과제에서의 결핍 특성
- ADH1B와 NQO2 유전자 다형성이 알코올 의존의 발병연령과 금단증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