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분열병 및 우울장애 환자에서 무쾌감증의 특성 비교
이용수 70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nhedonia betw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Depressive Disorder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최수희 박일호 구정훈 최경묵 박민경 김재진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9권 제6호, 570~57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Anhedonia, defined as an inability to experience pleasure, has been considered to
be a core feature of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nhedonia in patients with the two illnesses by examining hedonic
capacity during phased hedonic experience.
Methods Hedonic rating tasks, using the film clips of physical and social hedonic stimuli and
neutral stimuli, were performed by 29 patients with schizophrenia, 20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29 normal controls. Each task consisted of ‘preview phase’ with insufficient emotional information,
and a subsequent ‘theme phase’ with sufficient emotional information.
Results In normal controls, the mean hedonic score was increased in the theme phase compared
with the preview phase, suggesting an appropriate augmentation of the hedonic respons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edonic scores in the preview phase were comparable with those
in normal controls, but showed deficient augmentation in the theme phase. In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the range of increments in scores between the preview and theme phases was
normal, but the scores themselves were lower in both phases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a deficient augmentation
of the hedonic response, whereas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have a pervasive lack of hedonic
capacity.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 정신분열병환자의 가족지지 지각일치수준과 정서표현성 및 증상과의 관계
- 한국형 범불안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9 (III) : 공존질환의 치료
- D형 성격척도의 구성 타당도에 관한 연구 : 정상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 정신분열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야간 식이 설문지의 심리측정적 특성
- 한국형 범불안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9 ( II ) : 약물치료 알고리듬 및 장기 약물치료 전략
- 섬망 심각도와 관련된 위험 요인
- 한국형 범불안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9 ( I ) : 초기 치료 전략
- 소방공무원들에서 긍정심리적 특성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발생에 미치는 영향
- 명상치료프로그램의 개발
- 정신건강의학과로의 개명이 우리에게 주는 것?
- 가상인물들과의 정서유발 대화 상황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선 배분 특성
- 정신분열병 및 우울장애 환자에서 무쾌감증의 특성 비교
- 우울증과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 정신건강회복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조는 치매였나?
- 후유장애 평가 의뢰된 환자에서의 신경인지기능의 임상적 특성
- 올란자핀-발프로에이트 병용 치료 시 발생한 가역적 호중구 감소증 2예
- 한의학에서 보는 정신병 정신병리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