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증과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이용수 85
- 영문명
- Depression and Gene-Environment Interactio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용구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9권 제6호, 538~54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is a common disorder, widely distributed in the population, and usually associated with substantial symptom severity and role impairment. MDD is also a complex and heterogeneous disorder, at etiological, phenotypical, and biological levels. The gene or series of genes, which cause MDD, have so far not been identified. However, certain genetic variations, called polymorphisms, may increase the risk of MDD in a susceptible person. In addition, environmental stress also is a common precipitating factor of MDD. Various stressful life-experiences-prenatal stress, aversive early life experiences, ongoing or recent psychosocial stress-ar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MDD. Nevertheless, not all persons ex-posed to these stresses become depressed. Environmental stress interacts with a person’s ge-netic makeup to influence his or her risk for developing MDD. It is the combination of genes, early life stress, and ongoing stress, which may ultimately determine an individual’s responsiveness to stress and vulnerability to MDD. Consequently, the gene and environment interactions may impact multiple neurobiological systems implicated in MDD. The gene-environment interaction in the pa-thophysiology of MDD leads to advances in personalized medicine by means of genotyping for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n drug action and metabolism. Such concept may explain why some subjects become depressed while others remain unaffected.
목차
서 론
우울증의 단가아민 가설
우울증과 유전자
환경적 인자와 우울증
유전자-환경의 상호작용과 우울증
우울증의 뇌신경회로
우울증 치료의 발전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 정신분열병환자의 가족지지 지각일치수준과 정서표현성 및 증상과의 관계
- 한국형 범불안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9 (III) : 공존질환의 치료
- D형 성격척도의 구성 타당도에 관한 연구 : 정상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 정신분열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야간 식이 설문지의 심리측정적 특성
- 한국형 범불안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9 ( II ) : 약물치료 알고리듬 및 장기 약물치료 전략
- 섬망 심각도와 관련된 위험 요인
- 한국형 범불안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09 ( I ) : 초기 치료 전략
- 소방공무원들에서 긍정심리적 특성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발생에 미치는 영향
- 명상치료프로그램의 개발
- 정신건강의학과로의 개명이 우리에게 주는 것?
- 가상인물들과의 정서유발 대화 상황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선 배분 특성
- 정신분열병 및 우울장애 환자에서 무쾌감증의 특성 비교
- 우울증과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 정신건강회복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영조는 치매였나?
- 후유장애 평가 의뢰된 환자에서의 신경인지기능의 임상적 특성
- 올란자핀-발프로에이트 병용 치료 시 발생한 가역적 호중구 감소증 2예
- 한의학에서 보는 정신병 정신병리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