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공포증에 관한 10년간의 임상연구
이용수 125
- 영문명
- A Clinincal Study of Social Phobia for 10 Year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시형 신영철 오강섭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3권 제2호, 305~31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uthors examin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838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social phobia at Koryo General Hospital from May 1982 to Apr. 1992.
We discussed the patients’ demographic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group therapy.
Some of the important findings are as follows :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 Social phobic patients comprised 4.5% of the total numbers of psychiatric outpatients.
2) Male patients(521 cases) outnumbered females(317 cases) with ratio of 1.6 : 1.
3) Majority, 454 cases(54.2%) were classified as simple type, 270 cases(32.2%) as type of
ideas of harming others and 114 cases(13.6%) as borderline type.
4) The mean age of initial hospital visit was 26.4 and the mean age of symptom onset
was 19.5.
2. Clinical characteristics.
1) Four most common symptoms,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were tensing up(22.2%),
fear of one’s own gaze(l5.6%), blushing(l4.3%) and trembling of hands(l2.1%).
2) As to the onset of symptoms, those who developed with gradual onset were most frequent
(52.7%).
3) Most of the patients complained of having hard time in their social life owing to their
phobic symptoms and 14.1% of patients had history of suicide attempt
3. Results of group therapy.
1) The fear of self emitting order showed good treatment response than trembling of hands,
and trembling of voice than trembling of hands and facial expression.
2) Group therapy was effective in both types, simple and ideas of harming others. However,
poor treatment outcome was noted in the borderline type.
3) Cognitive reconstruction through therapist’s lecture was most effective in simple type,
and paradoxical inten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type of ideas of harming others than
borderline type.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토 론
요 약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박장애환자에서 세로토닌 효현제인 MK-212가 체온 및 신경내분비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정신분열병의 양성아형과 음성아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망의 차이
- 우울에 대한 Moclobemide(Aurorix) 의 임상적연구
- 경련과 뇌 혈액 관류장애를 동반한 Zipeprol 남용 6례
- 주의력 결핍 과잉 운동장애에 대한 Methylphenidate의 임상 효과
- 인격장애에 있어 약물치료
- Lithium이 인체의 세포성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다면적 인성검사 특성
- 타과병동에서 정신과로 전과된 입원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 수면 무호톱과 불안장애의 불면증에 대한 다원수면기록
- SCID를 이용한 酒酊中毒의 併發 정신장애 연구
- 元曉가 본 阿黎耶識의 分析心理學的 考察
- 월경전기증후군의 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분열증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기억수행
- 급성기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정량화 뇌파 소견
- 사회공포증에 관한 10년간의 임상연구
-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에서 Cholecystokinin의 치료효과
- 주정 중독 환자에서 Fluoxetine 장기 투여가 음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
- Alzheimer형 치매 의심과 경도 Alzheimer형 치매의 인지기능 비교
- Risperidone의 임상적 안전성
- 주의력 결핍과잉운동장애 아동의 뇌청각 사건유발전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