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분열증환자에서 Haloperidol과 Reduced Haloperidol 사이의 상호변환에 있어 Haloperidol Reductase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Haloperidol Reductase in Interconversion between Haloperidol and Reduced Haloperidol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양병환 오동열 정은기 김이영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3권 제5호, 1134~114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aloperidol is metabolized through reductation by the enzyme haloperidol reductase at the
benzylic ketone to form an alcohol metabolite, known as reduced haloperidol. The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of reduced haloperidol and also haloperidol reductase is the main subject
of haloperidol study, as the reduced metabolite can be converted back to the parent drug
which has some neuroleptic effe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haloperiol reductase activity in RBC and reduced haloperidol formation, also the difference
of haloperidol reductase activity between responding and nonresponding schizophrenic pat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aloperidol reductase activity of schizophrenic patients in RBC at 2 weeks was 12.8± 4.
3ng/30 min/200ul RBC, 16.0± 11.9 at 4 weeks and 22.3± 7.1 in control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haloperidol reductase activity in RBC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
and control group at 2 weeks but no difference at 4 weeks.
2) We divided the patient into responding and nonresponding group by the percentage
of improvement in total BPRS score as more or less than 2>\%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aloperidol reductase activity in RBC among two groups.
3))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aloperidol dose of administration and
haloperidol reductase activity in RBC.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haloperidol reductase activity in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rug administration, so the study which deal
with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ity of haloperidol reductase, should be undertaken in
the future.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연구결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파킨슨씨병 환자에서의 전기충격요법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P300에 나타난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적 결함 - 현실 변별 가설을 중심으로
- Toloxatone 및 Ethanol이 흰쥐 MAO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지속성 복막투석 환자와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과 불안 정도에 대한 비교연구
- 지연성 운동장애에 대한 Clonidine의 치료효과
- 정신증 입원 환자의 혈청 Folate 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일차성 성인남자 알코올중독 입원환자의 우울정도에 따른 임상양상 비교
- 정신분열증환자에서 Haloperidol과 Reduced Haloperidol 사이의 상호변환에 있어 Haloperidol Reductase에 관한 연구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기형
- 주정중독 환자 배우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결혼생활
- “The St Mary’ s Hospital(SMH) 수면설문지”의 한국형 표준화 및 연령에 따른 수면 양상 비교
- 공황장애 환자의 어린시절 공포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문화정신의학 : 어제와 오늘
- 정신감정의뢰된 범법정신질환자들의 일반적인 특징의 변화 : 16년간의 비교
- 알코올 중독환자 자녀들의 알코올 중독 위험성과 불안, 우울 및 부모ᅳ자녀 결합형태에 대한 연구
- 정신지체 환자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Clozapine 효과
- 당뇨병성 신경병증환자에 대한 Amitriptyline의 항동통효과
- 정신병원 입원환자들이 경험한 무속, 민간 신앙치료
- 정신분열증의 양성,음성증상에 따른 추체외로증상의 비대칭성
- 백서 대뇌피질에서 (3H) Norepinephrine 유리에 대한 Mu-Opioid 수용체의 역할
- 지능과 신경심리 검사의 상관 관계
- 양성 및 음성증상 정신분열병환자의 기억수행에 관한 연구
- 발병연령에 따른 사회공포증의 임상고찰
- 청소년 정신분열증 환자 모친의 정신병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