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르프 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93
- 영문명
- The Effect of Orff Music Therapy on Sociality and Self-regulation of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현정(HyunJung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15호, 73~8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오르프 음악치료가 부적응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M구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교부적응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각각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오르프 음악치료를 총 15회기 동안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하였다. 1회기 전과 15회기 후 양 집단 모두 사회성과 자기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성 지수와 자기조절력 지수가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르프 음악치료 기법의 목적 중 하나인 사회적 목적과 심리적 목적이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르프-슐베르크 교육기법을 기반으로 한 오르프 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Orff music therapy on the sociality and Self-regulation of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M district, Seoul. Afte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randomly organized with 15 children each,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Orff music therapy in 15 sessions, twice a week, 40 minutes each, and the control group didn t. They took tests in basic sociality function and Self-regulation in the first and final sessions of the experi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When Orff music therapy were provided to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Orff music therapy showed a better rise in sociality index and Self-regulation index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 t. It implied that a social purpose, one of the purposes of Orff music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of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so, it denoted that a psychological purpose, one of the purposes of Orff music therapy, was effective at boosting Self-regulation of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made it clear that Orff music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ity and Self-regulation of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프리칸 디아스포라 음악의 스토리텔링
-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지휘자를 위한 매뉴얼 개발
- 미디어 기술 기반의 학원 음악교육 혁신체계 설계
- 중등 음악 교육에서 효과적 음악 활동을 위한 설문 연구
- 오르프 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음악개념학습을 위한 개념도의 실제적 적용
- 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임상 질환의 소개 및 분류
- 음악교사 임용시험 출제자가 알아야 할 출제기준
- 모차르트의 단조 소나타에서 나타나는 발전부의 화성 구조
- 인터랙티브 사운드 아트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음악교과에서의 특수교육의 음악심리적 적용
- 독일 민간합창운동의 사회적, 문화적 역할과 오늘
- 영화의 소리가 시공간성 해석에 주는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