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254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usic centered Convergence Program and Exploration of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남지영(JiYoung Na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17호, 63~7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융
합교육과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고, 이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음악중
심 융합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교사 사전 연수 실시’, ‘교과협의회 구성’, ‘교육과정 분석’, ‘교수․학습안 작성’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2012년부터 2013년에 걸친 1년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음악을 더욱 풍부하고 깊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은 교사에게 음악 수업을 위한 연구의 기회를 제공하고 음악 수업의 내실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은 유연한 교사 조직 문화 형성과 융통성 있는 학교교육과정 운영을 가능하게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centered convergence program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developed a music centered convergence program for 6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applied it to actual classes.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Pre-training of teachers’, ‘Composition of subject teaching meeting’, ‘Analysis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Preparation of teaching plan’.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a year from 2012 to 2013.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usic centered convergence program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and express music more deeply and profoundly. Second, music centered convergence program provided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study and contributed to substantialization. Third, music centered convergence program allowed to compose a 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of teachers and enabled flexible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 개발 과정
Ⅳ.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의 실제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POP의 세계 대중음악 진출에 대한 담론
- 예술고등학교의 효율적 운영 및 발전 방안 탐색
-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서울·경기지역 학생 오케스트라의 운영실태 조사
- 국악 전공자의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이수 전략
- 음악의 구성요소로서 음색(音色)의 중요도에 대한 변천과정
- 개념도를 활용한 교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세기 미국의 신고전주의 음악적 경향
- 움직임이 있는 능동적 음악 감상 교수 학습 방안 모색
- Stake의 반응적 평가에 의한 음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평가
- 협동학습 TAI모형을 적용한 방과후학교 클라리넷 수업의 효과
- 음악시로서의 힙합시와 현대사설시조 비교분석
- 초등학교 음악중심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오르프 기악합주 프로그램과 예비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
- 영화의 미장센과 가상적 음향효과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