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실기교육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룹연습이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79
- 영문명
-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oup Practice on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Music Performanc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임혜숙(Hye suk lim) 조영환(Young hoan ch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4호, 129~1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실기교육에서 그룹연습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룹연습이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어떤 성향의 학습자에게 그룹연습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실용음악전공 및 국악전공 학생들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그룹연습과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연습 및 연주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룹연습은 연습 및 연주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숙달목표지향성이 낮은 학생들의 경우 그룹연습의 영향이 적었으나 숙달목표지향성이 높은 학생들은 그룹연습이 많을 때 연습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주만족도에 있어서 숙달회피지향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지향성이 높을수록 연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숙달회피지향성이 낮은 학생의 경우 그룹연습의 영향이 적었으나 숙달회피지향성이 높은 학생들은 그룹연습에 많이 참여할 때 자기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학습자들이 서로 협력하고 지식을 공유하며 개인의 부족함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그룹연습이 효과적인 연주학습의 형태로서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Although a growing number of music educators hav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group practice,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actice in music performance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practi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satisfaction and th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music and Korean music. A total of 126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at an art university in Seoul. Analysis of these surveys yielded five significant findings. First, group practice positively influenced practi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Seco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stery-approach goals and group practice on practice satisfaction. Third, mastery-avoidance goa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formance satisfaction. Fourth,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 self- efficacy. Lastly,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stery-avoidance goals and group practice on student self-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at music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group practice in order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skills and to support each other.
목차
Ⅰ.서 론
Ⅱ.이론적 배경
1.그룹연습
2.성취목표지향성
3.자기효능감
Ⅲ.연구방법
1.연구대상
2.검사도구
3.분석방법
Ⅳ.연구결과
1.연습만족도
2.연주만족도
3.자기효능감
V.결론 및 시사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3ㆍ4학년 음악 수행평가의성취 기준 양상 탐색
- 초등 음악교과전담제 운영실태 연구
- 한국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중국 가창곡 고찰
- 핵심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국제비교: 한국, 일본, 싱가포르, 영국, 미국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고찰
- 텍스트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연구
-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음악실기교육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룹연습이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음악동화 만들기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개념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용음악 고등학교에서의 공연 및 영상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