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핵심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국제비교: 한국, 일본, 싱가포르, 영국, 미국을 중심으로
이용수 545
- 영문명
-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Core Competence and Musical Competence: Korea, Japan,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and USA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양종모(Jong-mo Ya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4호, 77~10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세계 5개국의 음악 교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음악 교과의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의 관점은 ‘역량’의 의미와 음악 교과 역량과 핵심역량과의 관련성, 음악 교과 최하위 내용과 핵심역량과의 관련성, 그리고 교과 역량의 어미 진술 방식 등이다. 이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 구현은 교과 교육과정과 핵심역량의 관계를 명료히 하는 데 달려있다. 둘째, 핵심역량을 기르도록 음악 교과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전통적인 음악 교과의 교육적 가치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음악 교과 역량의 기능을 명료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usic curriculum of five countries in the world. The point of comparison is the word competence ,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mpetence and core competence, the relevance of music with the lowest content and core competence, and the sentence structure of curriculum cont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 - centered curriculum depends o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and core competencies. Second, when constructing music curriculum to cultivate core competencie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ways to make use of the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music sub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functions of music competence which is presented in Korean music curriculum.
목차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핵심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국제 비교
Ⅳ.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3ㆍ4학년 음악 수행평가의성취 기준 양상 탐색
- 초등 음악교과전담제 운영실태 연구
- 한국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중국 가창곡 고찰
- 핵심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국제비교: 한국, 일본, 싱가포르, 영국, 미국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고찰
- 텍스트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연구
-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음악실기교육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룹연습이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음악동화 만들기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개념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용음악 고등학교에서의 공연 및 영상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