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연구
이용수 251
- 영문명
- Pre-Service Music Teachers’ Self-Assessment of Teaching Ability Using Text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오지향(Ji-hyang Oh) 신혜경(Hae-kyung Shi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4호, 47~7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업시연에 대한 자기평가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함으로써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의 수업능력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63부의 자기평가 내용을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하여 나타난 주제어들의 빈도, 위치와 중심성, 응집성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출현 및 연결빈도와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주제어 ‘수업’, ‘학습자’, ‘계획’,‘자신감’등을 중심으로 하위 커뮤니티들을 구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수업능력을 자신이 하는 교수행위만이 아닌 학습자 중심에서 일어나는 교수상황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보는 관점이 수업의 구성 요인을 중심으로 구조화 되어 있으며, 정의적 영역도 수업역량의 중요한 부분으로 체계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수업능력에 대한 자기평가에서 나타난 중요한 개념과 주제들을 구조적으로 추출하고 의미론적 연결을 해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bility through self-assessment. Using text network analysis, 63 reflective self-assessment forms written by pre-service music teachers were analyzed along with categories of three types of frequencies, two types of centralities, and the group compon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nodes were linked each other into one network. The sub-communities were formed around core keywords such as “instruction,” “learner,” “plan,” “confidence” that had high scores in frequencies and centralities. These keywords and their links represented how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own teaching ability.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eir teaching ability as leaner-centered behaviors rather than isolated teaching activitie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about their teaching ability were structured on the basis of factors related to instruction. Fourth, the affective domain should be considered as acore aspect for teaching ability. Thus, using the text network analysis in practical way to self-assess to teaching ability, affective aspects such as emotions, opinions, and attitudes were need to be analyze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tracts central issues and concepts from pre-service teachers’ self-assessment regarding teaching ability and analyzes semantic relations.
목차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1.반성적 자기평가
2.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Ⅲ.연구내용 및 방법
1.연구절차
2.분석대상 및 방법
3.자기평가지 설계
Ⅳ.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
Ⅴ.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3ㆍ4학년 음악 수행평가의성취 기준 양상 탐색
- 초등 음악교과전담제 운영실태 연구
- 한국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중국 가창곡 고찰
- 핵심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국제비교: 한국, 일본, 싱가포르, 영국, 미국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고찰
- 텍스트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연구
-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음악실기교육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룹연습이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음악동화 만들기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개념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용음악 고등학교에서의 공연 및 영상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