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등연계 세계시민교육의 효과 분석
이용수 646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a Associa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tween Prim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on Korean Students’ Global Citizenship
-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저자명
- 박환보
- 간행물 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제12권 제2호, 97~1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교사연구회 교사들이 개발한 초중등연계 세계시민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당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2개교, 총 4개 학교의 재학생 24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연계 세계시민교육에 참여는 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 양성평등에 대한 태도, 이민자에 대한 태도, 글로벌 의사소통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통제변인 중에서는 성별, 해외경험, 학업성취도, 가정배경이 통계적으로 세계시민의식과 유의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셋째, 해외여행 경험은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해외교육 경험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교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특정한 교과를 넘어 주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으며, 주제 중심으로 초중등 교육과정을 연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associa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between prim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on students’ glob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is program to 4 schools(2 primary and 2 middle schools), and surveyed 240 students from these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in the collaborative global citizenship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lobal citizenship, attitude to gender equality, attitude to tights of immigrant, global communication of students significantly after controlled level of school. Second, gender, international exper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ES had a association with global citizenship among the control variables. Thirds, the experience of oversea travel have a positive effect but the experience of education in foreign country have a negative effect on global issu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need to focus on the related themes beyond the specific subject, and more efforts to associat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them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