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조(散調) 장단의 빠르기 연구
이용수 208
- 영문명
- An analysis on tempo of the Sanjo Rhythm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일륜(Il Ryun Kim) 박미정(Mi Jeong Park)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4권 제3호, 23~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조는 한 악장 내에서 점차 빨라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악곡으로서 교본과 연주자 및 공연상황에 따라 곡 연주 빠르기의 유동적 차이가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교본과 음반에 제시된 ‘산조’의 장단 빠르기를 악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빠르기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 국악교육 현장에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같은 장단이라도 연주자와 악기특성에 따라 한배의 변화폭이 매우 컸는데, 특히 가야금은 한 장단 내에서의 빠르기 편차가 가장 컸으며, 빠른 장단으로 갈수록 변화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관악기는 연주자 개인의 호흡과 한배의 길이에 따라 빠르기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음반에 비해 교본의 빠르기 범위가 더 넓게 설정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Sanjo Rhythm, having a structure that become gradually faster even within a single movement, is very dynamic in its tempo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a performance or the performer and is very different in tempo indications depending on the instructional book. As such,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tempo by instrument as shown in instructional books and records, determine the tempo status, and suggest standards for the Korean classical educational scene. The results of the study yielded large differentials of Hanbae (tempo and length of time) even within the same rhythm, depending on the performer and the instrument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Gayageum had the largest tempo deviation within a single beat, and as the beat became faster, the degree of deviation was larger. As wind instruments were dependent on breathing to maintain the sound, the tempo was determined by the individual Hanbae. Moreover, this study confirmed the tendency for instructional books to have a wider range of tempo compared to musical recordings.
목차
Ⅰ. 머리말
Ⅱ. 산조의 장단 특성
Ⅲ. 산조 교본의 빠르기 분석
1. 발현악기 산조
2. 찰현악기 산조
3. 관악기 산조
Ⅳ. 교본과 음반의 산조 빠르기 비교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음악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e-portfolio 구성
- 산조(散調) 장단의 빠르기 연구
- 각 교과 간 핵심 내용 연계에 따른 초등학교 3,4 학년군 음악과 중심 융합 교육 방안 탐색
- 레슨 스터디(Lesson study)를 통한 예비음악교사의 협력적 전문성 신장 가능성 탐색
- 싱가포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GMP) 내용 분석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교육용 웹사이트의 사용실태 및 교사의존도 연구
- 음악교육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랩 음악 기보법과 분석방법 연구
- 미국의 예술분야 예비교사 수행평가를 위해 개발된 edTPA K-12 Performing arts의 내용 분석
- 실행공동체를 활용한 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 동향 분석: 음악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유아음악활동 영역의 인성요소 분석
- 음악교육동향 : 2015 교육과정 개정안에 대한 음악,미술 교과의 입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