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싱가포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GMP) 내용 분석
이용수 279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vised 2015 Music Curriculum(GMP) in Singapore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주(Eun Ju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4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과정은 한 나라의 교육이 표방하고 있는 기본 이념과 가치가 반영된 문서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각 국가에서는 다변화하는 사회와 세계를 살아갈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능력을 ‘역량’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교육과정에 담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는 음악과 교육과정을 2008 일반음악 프로그램 교수요목에서 2015 개정 일반음악 프로그램 교수요목으로 개정하여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반영하였다. 개정된 싱가포르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교급에 따른 학년군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년군 말에 기대되는 학생의 성취 수준을 몇 개의 ‘학습목표’로 제시하고 국가수준의 범교과적 성격에 ‘21세기 역량’을 제시한 점 등이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과 유사한 점이 많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해외의 교육과정 사례 중 싱가포르의 2015 개정 일반음악 프로그램 교수요목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핵심역량을 반영하는 새로운 우리나라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A national curriculum could be said to reflect the basic ideas and values a country``s education advocates. Recently, each country attempts to incorporate how to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for students living in a diversifying society and world into its national curriculum. Singapore included changing social requirements in its national curriculum, when revising the 2008 General Music Program Syllabus into the 2015 Syllabus General Music Programme.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revolves around grade bands on the ba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es, proposes student achievement levels expected at the close of grade bands in a few “Learning Objectives”, and tries to develop the national capabilities called “21st Century Competencies”. Like this, Singapore is similar to Korea in recent trend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2015 General Music Program Syllabus with former curricula in Singapore, and thus draws out suggestions for national music curriculum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2015 개정 일반음악 프로그램 교수요목
1. 목적
2. 음악과 목표
3. 교수방법 및 평가
4. 음악교수학습에서 ICT의 활용
5. 음악교실에서 21세기 역량
6. 내용
Ⅲ.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음악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e-portfolio 구성
- 산조(散調) 장단의 빠르기 연구
- 각 교과 간 핵심 내용 연계에 따른 초등학교 3,4 학년군 음악과 중심 융합 교육 방안 탐색
- 레슨 스터디(Lesson study)를 통한 예비음악교사의 협력적 전문성 신장 가능성 탐색
- 싱가포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GMP) 내용 분석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교육용 웹사이트의 사용실태 및 교사의존도 연구
- 음악교육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랩 음악 기보법과 분석방법 연구
- 미국의 예술분야 예비교사 수행평가를 위해 개발된 edTPA K-12 Performing arts의 내용 분석
- 실행공동체를 활용한 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 동향 분석: 음악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유아음악활동 영역의 인성요소 분석
- 음악교육동향 : 2015 교육과정 개정안에 대한 음악,미술 교과의 입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