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Musikunterricht(음악수업) 의 내용체계 분석 연구

이용수  82

영문명
Analyse des aktuellen Schulbuchs bzw. Lehrbuchs Musikunterricht Grundschule in einem Land in DB. -als ein Ansatz zum Sprunge unseres Musikunterrichtes in Grundschule-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학회
저자명
조순이(Sun I Cho)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27권 제0호, 227~2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독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州)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동기는 그 모든 교과 교육과정의 이념을 실현하는 최우선적인 수단으로서 교과서와 지도서에 대한 관심이 언제든 특별하다는 데 있다. 상기 교과서와 지도서는 학습내용을 구상(構想)함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이념이 제시하는 활동 영역의 구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일관된 주제를 살리면서 최대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교과서 및 지도서와 차별된다. 이 같은 차별성은 특히 활동영역의 구분(교육과정), 영역들 간의 연계성(교과서), 한 차시 수업절차에 있어서 개별적 학습활동의 이중-삼중적인 지도지침의 제시(지도서)에서 돋보이며, 이는 우리의 교육현장에 있어서도 일관된 교육과정의 이념을 얼마만큼 다양하고 생생하게 실현시킬 수 있을지 부단히 고민해야 하는 교사(교육자)에게 모범적인 착상(着想)을 진작시킬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Diese Arbeit bescha¨ftigt sich mit Analysieren des Schulbuchs bzw. Lehrbuchs Musikunterricht Grundschule in Schleswig-Holstein in Deutschland, damit wir hoffentlich mehr oder weniger prospektive Neukonzepte fu¨r unseren Musikunterricht in Grundschule in Griff nehmen. Das Schulbuch bzw. Lehrbuch sind na¨mlich dafu¨r das beste pa¨dagogische Mittel, gewunschte Erziehungsidee zum Vollzug zu bringen. Nach dem Resulat dieser Analyse erscheint sich groβer Unterschied zwischen den oben genannten Bu¨chern und den gleichartigen in Korea: Z.B. dazwischen nicht nur in bezug auf die Design und Inhaltsverzeichenisse, sondern vielmehr die Inhalte(besonders die versta¨ndliche Disposition der 7. Lernfelder: [1] Wir Bingen, spielen und tanzen, [2] Musik kann etwas erzahlen [3] Wie man Musik macht [4] Unsere Stimme als Instrument [5] Kla¨nge haben verschiedene Eigenschaften [6] Wie Musik notiert wird und [7] Wie Musik gemacht ist), Planungen, Materiellen, Unterrichtssequenz und Angebote zu alternativen(Al, A2, A3...), differenzierten(D1, D2, D3...) und erweiterten Unterrichtsformen(E1, E2...) usw. Worum geht es in diesen Unterschieden? Woraus kommen sie? Wie la¨βt sich Erziehungsidee der Musikpa¨dagogik verwirklichen? Wie sollte unser Musikunterricht in Grundschule realisiert werden etc. - Vermo¨chte uns diese Arbeit solche U¨berlegungen anzulassen, erreichte sie zweifellos Erfolg. U¨brigens beschreibt sie u¨ber das Schulbuch bzw. Lehrbuch in Grundschule in Korea nicht, weil sie vor allem fu¨r Lehrer und Lehrerinnen steht, die jetzt und bald die Erziehungssituation in Korea vorgenommen lehr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순이(Sun I Cho). (2004).독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Musikunterricht(음악수업) 의 내용체계 분석 연구. 음악교육연구, 27 , 227-256

MLA

조순이(Sun I Cho). "독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Musikunterricht(음악수업) 의 내용체계 분석 연구." 음악교육연구, 27.(2004): 227-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