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
이용수 203
- 영문명
- Knowledge Representational Theories and Representation of Musical Knowledge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승윤희(Yun Hee Se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27권 제0호, 129~1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의 인지작용을 이야기할 때 언어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모든 정보가 언어와 같은 상징매체로 기억에 저장되는지에 관한 주제는 인지심리학에서 지속적인 논쟁점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음악지식이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지식표상이론들에 따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인지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표상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상징표상, 유추표상, 연결표상, 비 표상이론)을 고찰하고, 지식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아 음악지식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음악지식은 다면체적인 지식이며 음악정보는 어느 하나의 방식이 아닌 다양한 방식으로 표상된다.
영문 초록
Twenty years ago, the mostly widely accepted view of the mind was that it represents information in symbolic form and carries out its processing operations by manipulating symbols. However, entirely different forms of representational systems have continuously been suggested, including analogical representation, connectionist representational systems commonly called connectionism, and non-representational the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how musical knowledge is represented. Representational theories in cognitive psychology were reviewed, and concepts and types of knowledge were describ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musical knowledge. Musical knowledge and musical thinking have been often regarded as a cognitive ability, but this notion is wrong. Musical knowledge includes cognitive, affective and active knowledge. To expand on the notion of musical knowledge, David Elliott`s opinion on musical knowledge was introduced. Musical knowledge is represented as verbally and nonverbally, cognitively, emotively, and actively. Symbolic representation, like verbal, is not the only system that is a high-level process or high level function. Each form of representation has a unique high-level process or high function. Music must be understood as music. Ultimately, this study can act a theoretical basis for musical learning and teaching.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음악수업의 교수-학습 과정 개선을 위하여 미디키보드와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수 전략 연구 및 학습 프로그램 개발
- 독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Musikunterricht(음악수업) 의 내용체계 분석 연구
- 예술영역간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장단개념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피아노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성향에 관한 고찰
- 권근의 예악사상과 교육론
- 합창감상교재 개발에 관한 다양한 접근
- 음악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연구의 새로운 접근
-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
- 학교 음악 교육: 50년의 회고와 전망
- 초등 음악학습부진아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