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eachers’ benefits of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promote scientific argumentation
이용수 2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Suna Ryu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7권 제1호,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eachers could benefit from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in their science classrooms to promote scientific argumentation. Twenty-seven teachers (13female, 14 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eachers developed SNA animation based on their scientific argumentation lessons. The main data sources, the teachers’ interpretations of SNA, peer feedback, an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were analyzed and triangulated.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were not only able to visualize and characterize changes in classroom interactions over time using SNA interpretation, but they were also able to reflect on and shift their instructional methods to foster argumentation. SNA can help teachers identify, reflect upon, and develop instructional means to foster argumentation by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classroom interactions and facilitating open discussions about their teaching practices.
목차
Introduction
Background
Method
Findings
Concluding Remark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ugges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the Thinking Process in Barbara McClintock s Research
- Teachers’ benefits of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promote scientific argumentation
- An analysis of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s in Korea and Jap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proportional reasoning
- A study of social nature of self-construct from a standpoint of neuroscience
- Why do children with insecure attachment show cognitive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s? : A neurological explan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