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최근 연구의 동향 분석: 2007∼2017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604
- 영문명
- Literature Review on Studies on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2007 to 2017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나경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4권 제2호, 47~7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수행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에 관한 연구를 대
상으로 연구의 동향과 내용적 방법적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법 개정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
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술저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
육법’과 ‘특수교육법’의 검색 키워드를 통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검색하였다. 포함조건과 제외요건을 적용한 후 최종적으로 25개의 연구가 분석대상
논문으로 확정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법에 관한 연구는 법 개정 초반에 집중적으
로 이루어지다가 최근 들어 유관법 개정과 함께 법 개정에 대한 요구가 도출되었으며, 특정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경우가 많았다. 둘째, 연구내용별로 살펴보면, 교원에 관한 연구, 교
육과정에 관한 연구, 국제비교를 다룬 연구, 유아특수교육에 관한 연구, 법 일반에 관한 연
구, 그 외 기타에 해당하는 연구 등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살펴보면, 문헌을
대상으로 한 문리해석이 주를 이루었고, 그 다음으로는 조사연구와 면담을 통한 분석을 통
한 현상에 대한 분석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함께 향후 연구를 위
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혁신학교 참여여부가 특수학교 교사의 학교효과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초등 특수학급의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과제
- 의미단위 띄어읽기 전략교수가 읽기이해 부진 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뚜렛 증후군 학생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 탐구
- 학습장애위험군 진단·평가를 위한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 읽기이해검사 타당화 연구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경험에 근거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중재반응모델(RTI)을 활용한 진전도 모니터링 활용과 읽기학습장애 위험군의 어휘 중재 효과 분석 연구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최근 연구의 동향 분석: 2007∼2017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