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ㆍ중 피동 표현에 나타난 서술 구성 대조 분석
이용수 117
- 영문명
- A Contrastive Study of the Predicat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우동동,김인균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50권, 203~2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중 피동 표현에 나타난 서술 구성을 연구 대상으로 삼
아, 한국어 피동 표현에 대응되는 중국어 피동 표현의 다양한 서술 구성
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중국어 피동 서술어(동사)의 음절수와 그
어휘 의미 및 상(相)적 의미, 그리고 서술어의 결합 방식과 그에 따른 서
술 구성의 차이에 집중하여 논의 진행을 하였다. 본 대조 분석을 통해 확
인한바, 한국어 피동 표현 서술 구성과 달리 중국어 피동 표현은 서술어
가 1음절인 경우 그 서술어가 지닌 [손실성][지속성][상태성] 유무에 따
라 다양한 서술 구성으로 나타나고, 서술어가 2음절인 경우 그 서술어의
결합 방식에 따라 서술 구성이 다르게 출현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중국어 피동 표현의 1음절 서술어의 서술 구성
3. 중국어 피동 표현의 2음절 서술어의 서술 구성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문법에서의 ‘이다’ 처리 문제 재고
- 융합독서의 개념 및 시행에 대한 예비 국어교사들의 인식 분석
- ‘-기를’ 인용구문의 발달과 인용구문 유형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
- 뜻풀이로 본 『표준국어대사전』의 감탄사 유형 연구
- 방언 화자 분석을 위한 인구 관련 문헌 소개 -20세기 초 이전을 중심으로-
-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실태와 체계화 방안 -고용허가제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 진술화행의 개념과 범주에 관한 연구
- 설명적 글 읽기를 위한 독해 전략 -수능 국어 시험의 지문 유형을 중심으로-
- 한ㆍ중 피동 표현에 나타난 서술 구성 대조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