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여가태도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 주제어 기반 지식네트워크 분석의 적용
이용수 75
- 영문명
- The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Domestic Leisure Attitude Researches : Application of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차윤석,김영재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15권 제3호, 55~6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여가태도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이다. 지식구조를 알아봄
으로써 여가태도의 현 위치를 이해하고, 나아갈 방향 제시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
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1990년-2017년까지 국내 여가태도 연구 102편에서 추
출된 392개 주제어(키워드)를 분석하여 지식네트워크(knowledge map)를 구축했다.
Netminer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제어(키워드)의 중심성(연결중심성, 근접중심
성,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여가태도 연구는
‘여가만족도’, ‘여가동기’, ‘몰입’, ‘생활만족도’ 주제어 중심 지식구조
를 보였다. 근접중심성이 높은 주제키워드는 네트워크상의 많은 종류의 주제키워
드 및 논문과 연결을 맺고 있는 것인데 마찬가지로 출현빈도가 높을수록 다양한
주제키워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매개중심성 결과는 출
현하는 빈도에 비해 쉽게 시도될 수 없었던 각각의 주제키워드를 중재 또는 매개
하는 주제키워드로써 그 역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국내 여가태
도 연구의 지식구조는 소수의 주제어들이 다수의 주제어들과 연결된 무척도 네트
워크(Scale-free network) 구조를 나타냈다. 이는 특정 주제어(심리적 변인)에 편중
된 연구수행의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방론과 주제어 확장을 통해
여가태도의 지식체 확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