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Characteristics, Issues, and Prospects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Characteristics, Issues, and Prospect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Jho Daehoon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1권 제3호, 185~19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current
framework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 brief chronological out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over the past 60
years, this study illustrated key feature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um, looking at the contemporary
history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characterized by ‘instability’ due to the lack of a
long-term view in curriculum design, and due to a strong tendency to separate instead of integrate subject matter across its
major content areas. The analysis of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monstrates that the 2015 revision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versions in terms of 1) the integrative approach to the core courses, 2) an increased emphases on the
themes of multiculturalism and global awareness, and 3) the special attention given to education for ‘territory’ and ‘financial
literacy.’ Finally, three persistent issues underlying Korea's social studies curriculum--namely, strong state control over the
curriculum, detrimental effects of the micro-politics of social studies subjects, and the gap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 preparation―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ts future direction.
목차
I. Introduction
II. The Framework of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II. The History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1946~2009
IV.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VI. Future Direct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9 개정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s of Scientific Inquiry Regarding Practices of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 중·고등학교 축구선수의 능력믿음, 자기관리전략 및 경기수행능력의 관계
- The History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resent 2015 Science Curriculum
- Lesson Play를 활용한 초등예비교사의 내용 지식 고찰: ‘어림하기’를 중심으로
- 학습일지가 영어 학습자의 시험 점수, 학습동기 및 교수자의 수업 계획에 미치는 영향
- Parental Involvement in English Education: Discursive Positionings of Korean Mothers
- Korea’s English Curriculum : Review,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 미래사회 대비 체육교과의 교육방향 탐색
- Comparison of the Reading Content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a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South Korea and the 2013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North Korea
- 자생적 체육교사 학습공동체의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과 의미
-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Characteristics, Issues, and Prospects
- 음악창의성 연구 동향 고찰: 연구 방법 및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관계 지향의 교사 화법을 위한 국어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 및 특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