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석교사제의 법제화 과정에 나타난 정책갈등 분석
이용수 22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이상희 김재웅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19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수석교사제의 법제화 과정에서 나타난 교원단체간 정책갈등의 전개과정
을 잠재적 갈등, 갈등의 표출, 갈등의 해소 등 3단계로 설정하고 갈등 양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정책갈등 전개과정의 분석 대상 시기는 수석교사제의 이슈 형성이 시작
된 2000년부터 수석교사제가 입법화된 2011년까지이고, 연구방법으로 정책갈등 관련
및 수석교사제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정부 보고서, 국회 회의록 및 언론 보도
자료 조사, 수석교사제 관련 인사에 대한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직발
전종합방안(2000년)이 발표되면서 수석교사제를 지지하는 교총과 교장공모제를 지지
하며 수석교사 도입을 반대하는 전교조의 상이한 입장차이로 말미암아 잠재적 갈등
이 시작되었다. 두 단체의 갈등은 수석교사제 법제화가 결정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국회에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총 5회에 걸쳐 법안발의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갈등이 표출되었으며, 결국 2011년 수석교사제와 교장공모제가 모두 입
법절차를 마치면서 그 동안의 정책갈등이 해소되었다. 이는 정책 갈등이 고조된 시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치권의 개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또한,
이는 교육정책갈등이 교육 분야 내부의 집단만으로는 해결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적 배경
1. 수석교사제의 도입과정
2. 방과후학교 정책 관련 선행 연구
3. 정책갈등의 발생 요인과 전개과정
Ⅲ. 분석의 틀과 연구방법
Ⅳ. 수석교사제 법제화 과정에서 나타난 정책 갈등 분석 결과
1. 잠재적 갈등의 형성 (2000년 ∼ 2006년)
2. 갈등의 표출 (2006년 ∼ 2011년 6월)
3. 갈등의 해소 (2011년 6월∼ 9월)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