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전환 수술의 역사적 배경 및 국내 현황
이용수 441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성학회
- 저자명
- 김진홍
- 간행물 정보
- 『대한성학회지』제1권 제3호, 78~8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성 주체성 장애의 연구에 관한 역사와 함께 세계성전환 학회의 태동 및 그 학회에서 발간하는 진료지침 최신판(제7판, 2011년)에 대해 소개한 것이다. 진료지침은 정신 건강과 호르몬 치료, 수술적 처치, 사회 및 법률적 내용 등을 담고 있는데, 진 료지침의 목적과 목표는 성 주체성 장애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것이다. 성적인 다양성에 대한 관용과 평등권에 대한 사회적 정 책과 법률적인 변화를 통해 편견과 소외, 사회적 낙인찍기를 제 거하는 것이 성 주체성 장애자의 건강을 증진하는 방법이다. 한 글로 된 진료지침은 1990년 세계성전환학회 진료지침을 토대로 제정되기도 했지만, 그 후 한 차례도 개정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국내에서는 여성에서 남성으로의 성전환 수술이 1986 년 그리고 여성에서 남성으로의 수술이 1991년 시도되어 그 역사가 짧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성주체성 장애라는 선천적 질병 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역학조사도 아직 시도하지 못한 실정이다.
영문 초록
목차
서론
역학
치료
국내 현황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