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문제의 교육문제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의 의의와 한계
이용수 17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원리학회
- 저자명
- 양미경
- 간행물 정보
- 『교육원리연구』제19권 제1호, 31~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1.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과 직접 관련이 되지 않거나 교육으로 해결할 수 없는 온갖 사회문제가 교육의 문제로 간주되는 현상’에 대해 최근 일부 학자들은 ‘사회문제의 교육문제화(educationalization)’라고 명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적 담론의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고,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들은 학교에 대한 무차별적인 기대의 부적절성을 강조하였고, 학교 개혁의 비체계성과 가치갈등성 등의 문제점을 포착하였으며, 학교가 사회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실질적인 효과를 입증해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관행이 여전히 지속될 수 있는 작동 기제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학교’에 대한 기대와 요구를 ‘교육’에 대한 기대와 요구로 개념화하고, ‘교육’을 기능 중심으로 규정하는 방식의 오류를 간과함으로 인해, ‘사회문제의 교육문제화’ 관행의 본 질을 보다 철저히 노출시키지 못하였으며, 나아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한계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실제’와 ‘교육’의 개념적 차이를 분명히 하고, 교육의 의미를 그것의 기능으로 환원시키는 대신 그 자체의 구조와 내재적 가치를 드러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