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修身, 선비의 자기완성
이용수 136
- 영문명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장윤수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15권, 147~17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필자는 이 글에서 ‘선비의 修身’을 주제로 하여 선비정신의 현대적 의
의를 논하였다. 선비정신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가능한데, 여기서는
과거적 의미에만 머물지 않고 오늘날에도 생생하게 재현해낼 수 있는 미
래적 가치를 특히 주목하였다. 이러한 선비정신은 자기완성으로서의 修
身에 잘 드러난다. 그리고 수신의 이념은 仁의 실현에 있고, 선비는 仁
의 실현을 통해 聖人이 되고자 한다. 우리는 여기에서 수신의 구체적 내
용으로서 敬을 강조하였다. 전통 주자학의 수양론에서는 格物致知와 居
敬涵養 두 측면이 모두 강조되나, 한국적 주자학의 특징이 격물치지보다는 거경함양이 강조되는 측면을 염두에 둔 것이다. 구체적 논의과정에서
聖人을 지향하는 心學 공부로 敬을 이해하였고, 또한 수신의 구체적인
공부법으로 愼其獨과 無自欺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유가인들 스스로가
생각하는 유가와 불가의 치심법의 특징을 차별적 입장에서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 수신의 이념이 仁의 실현이라는 관계적 자아의 확립에 있음
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수신의 주체 : 선비란 누구인가?
2. 수신의 철학적 배경 : 마음(心)의 중층 구조
3. 수신의 방법과 실제 : 敬의 공부
4. 수신의 이념 : 仁(관계적 자아)의 실현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자서절요⌋를 통해서 본 퇴계의 학문정신
- 修身, 선비의 자기완성
- 한국형 지식인, 선비의 탄생
- 선비, 그 용어의 기원과 의미의 내함
- 퇴계의 도설(圖說)과 라깡의 위상학
-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 선비와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군자/ 소인, 진유/ 속유, 대장부, 유ㆍ불ㆍ선
- 유교 선비들의 초상 & 그 문화적 문법
- 『朱子書節要』와 『朱書百選』의 비교 연구
- 四端七情論爭으로부터 心卽理로- 사단칠정논쟁에 대한 華西ㆍ蘆沙ㆍ寒洲의 결론
- 학파 형성의 조건
- ⌈士夫日課⌋를 통해 본 선비의 하루 日常
- 孟子ㆍ退溪의 反戰論과 孝宗의 義戰論
- ‘眞知實踐’의 교재 ⌈朱子書節要⌋- ⌈주자서절요⌋ 서문 분석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