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理와 心의 문제로 본 李退溪思想의 특징과 사상사적 의의
이용수 84
- 영문명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이퇴계 리 마음심 퇴계심학 양명심학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6권, 1~3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이 理와 心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이퇴계가 중국과 조
선의 선배학자나 동료들을 상대로 그것의 이해를 둘러싸고 씨름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구축해가는 모습을 추적하는 것으로, 이퇴계 사상의 특징
과 그것의 사상사적 의의를 다시 한 번 살펴보고자 하였다. 논의의 진행
은 먼저 이퇴계가 明代의 羅整菴과 조선의 徐花潭을 비판하는 모습을
살피고, 그것의 이유로서 四端七情論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본격적으
로 리와 심의 관계를 본래성과 현실성의 문제를 통하여 논하였고, 마지
막으로 퇴계심학의 사상사적 의의를 양명심학과의 관계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퇴계가 리와 기를 준별하여 나정암과 서화담을 비난하
고, 또 사단칠정논쟁에서 기고봉을 詰難한 이유는 기 혹은 그것이 작용
하는 현실에 대한 불만이었음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한편에서 이퇴계
는 추구하여야할 이상으로서의 리가 기․현실과 유리되어 있다고도 생
각하지 않았는데, 이퇴계는 일견 모순처럼 보이는 이 문제를 사람의 마
음을 매개로 하여 그것과 같은 내용이 되는 리와 성에 능동성을 불어넣
는 방법으로 돌파하고 있었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朱子의 리와 심의 관
계가 하나이면서 둘이라는 양면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양명심학은 주자
의 심과 리의 ‘둘’의 측면에 기초하여 주자를 부정적 매개로서, 이퇴계는
‘하나’의 측면에 기초하여 주자를 긍정적 매개로 하여 각각 자신의 사상
을 재구축해 간 것이었음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序論
2. 李退溪의 羅整菴·徐花潭批判
3. 四端七情論爭
4. 理와 心의 관계―본래성과 현실성의 문제
5. 王陽明批判과 李退溪思想의 特徵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