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이용수  151

영문명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강명희 정혜윤 김민정 김혜정 엄소연 박효진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13권 제4호, 937~96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실재감의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대한 예측력을 분석하 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A 대학의 교육계열 전공기초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약 한 달 간 실시되었 다. 모든 설문과 과제에 빠짐없이 참여한 47명의 자료와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게시판을 통해서 비동시적으로 일어난 학습자 상호작용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때, 학습실재감은 인지적․사회 적․감성적 실재감이라는 하위요소로, 상호작용은 수신․발신 횟수와 과제지향적․관계지향적 메 시지의 교환 정도로, 성취도는 개인 성취도와 팀 성취도로 나뉘어 측정되었으며, 상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예측력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학습실재감의 하위 요소 중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간 수신․발신 메시지 횟수, 관계 지향적 메시지의 수 그리고 팀 성취도 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학습실재감 전체는 개인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반면, 인지적․감성적 실재감은 상호작용과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지적 실재감이 상호작용과 성취도 그 어느 것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된 것은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로 추후 반복 검증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먼저 높여 주어야 할 필 요성을 제안하며, 개인과 팀 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비롯한 학습실재감 전체를 높여 주기 위한 전략이 수립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명희,정혜윤,김민정,김혜정,엄소연,박효진. (2009).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3 (4), 937-960

MLA

강명희,정혜윤,김민정,김혜정,엄소연,박효진.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3.4(2009): 937-9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