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실패관련 의식 분석 :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Striving to Build a Stronger Identity for Counseling
이용수 26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신 김의철 한기혜 김경자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49권 제1호, 1~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실패관련 의식을 탐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분석대상은 총 2,499명이었으며, 청소년 833명(초 203, 중 218, 고 216, 대 196)과 그들의 부모
1,666명(아버지 833, 어머니 833)이었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개방형 질문지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고통스러운 실패경험으로, 청소년은 학업실패, 자기조절 결여, 인간관계 실패
를, 부모는 자기조절 결여, 없음, 학업실패, 직업실패, 경제적 어려움, 가정생활 문제를 지적하였다. 둘
째,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으로, 청소년과 부모 모두 과반수 이상이 나 자신이라고 응답하였
다. 나 자신 외에 청소년은 친구를, 부모는 직장동료/상사, 기타 가족, 부모, 친구, 주변사람, 배우자를
지적하였다. 셋째,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을 주관적 원인과 객관적 원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있는 타인의 시각을 고려하여, 청소년은 부모, 담임선생님, 친한 친구, 친하지 않은 반 아이
들의 시각에서, 부모는 배우자, 자녀, 주위동료, 윗사람/직장상사의 시각에서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
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력 부족 등을 의미하는 자기조절 결여가 가장 대표적이었고, 이외에 성
격문제, 인간관계, 능력부족, 가정환경 등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10여년 전(박영신 김의철,
1999) 및 5년 전(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2005)에 이루어진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구체적인 중요도
순서에서는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대표적인 개념 범주들은 공통적으로 밝혀졌다. 세월의 변화에도 불
구하고 변하지 않는 한국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관련 토착심리의 대표적인 특징들과 교육적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