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력적 탐문(探問)으로서의 어린이들의 대화
이용수 17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오문자 김희연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42권 제1호, 223~25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에서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주변세계와 상호작용하고 의사소통하며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으로서의 협력적 탐문의 의미를 탐색하고, 어린이들의 협력적 탐문의 실제 사례에 대한 담화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짚어보고자 하였다. 먼저, 협력적 탐문은 1)사회, 인지, 표현의 통합 행위로서, 2)의사소통 사건으로서, 3)학습상황으로서 그 의미가 도출되었다. 두 프로젝트 사례로부터 추출된 대화에 대한 담화 분석에서는 어린이들의 대화 능력과 이를 지원하는 교사의 지원전략을 볼 수 있었다. 어린이들은 협력적 탐문의 틀을 갖추기 위해 협상해 나가며, 협력적 탐문 내 발화들은 전체 토픽과의 상관성을 유지하고 발화들 간의 연결성을 높이면서 진행되었다. 또한, 은유와 상상, 추론, 비교 등의 표현과 문장 형태, 초의사소통적 표현들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표현하는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상을 통해 어린이들의 대화는 협력적 탐문으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규정하였으며, 어린들의 능력과 성향에 따라 지원받을 권리와 그러한 권리에 입각한 상호교류적 대화의 중요성과 교사와 어린이를 포함한 학습공동체 내에서의 귀 기울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I.들어가며
II.협력적 탐문의 의미
III.협력적 탐문의 담화 분석
IV.마치면서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의 인간형성이론
- 초·중 통합운영학교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 연구
- 전자미디어에 의한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과 학교교육의 변화방향에 관한 연구
- Web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학습기술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 현행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의 실태와 과제
-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내용 진단
- 협력적 탐문(探問)으로서의 어린이들의 대화
- 교육과정이론으로서의 격물치지론
- 다른 조건, 유사한 정책이념의 사회학적 의미 : 한국과 영국의 대학평가 정책의 사례
- 이중처벌금지 원칙 관점에서의 청소년 성매수자 신상공개제도의 위헌성
- 교과서적 지식의 인식론적 한계와 대안 탐색
- 웹기반 원격교육의 이론적 논의에 관한 새로운 관점 : Moore의 개념을 넘어서
- 뇌 기반 교수-학습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사립 고등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 운영과정에 관한 미시 정치적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