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혼 치료 : Therapeutic issues in divorcing process

이용수  3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가족치료학회
저자명
전영주
간행물 정보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7권 제2호, 75~9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1.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사회에서 이혼이 급증하면서 이혼 일반에 대한 연구는 늘고 있지만, 이혼하는 가족을 위한 치료적 중재에 대한 노력은 아직 미흡한 편이다. 본고는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이혼 치료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혼과정에서의 치료적 개입과 주요쟁점들을 검토하고 있다. 가족치료와 동일한 연속선상에서의 이혼 치료는 어느 특정한 이론이나 기법에 의존하기보다는 체계적 관점에서 이혼과정에 대한 치료자의 지식과 통찰을 필요로 하는 상징적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혼 과정에서의 치료적 개입은 크게 1) 이혼 전 의사결정 단계, 2) 재구조조정 단계, 3) 이혼 후 적응 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혼 후 가족의 적응도 중요한 단계로 포 함시킬 수 있으나 본고에서는 그에 대한 논의는 제외되었다. 이혼 과정의 각 단계별로는 첫 째, 이혼 전 의사결정에서 치료자가 주의해야할 평가 기준과 효과적인 의사결정단계 등에 대해 논하였다. 둘째, 재구조조정 단계에서는 부부에서 독신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에서 발생 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 중 자녀의 치료와 이혼중재(조정) 및 자녀후견 문제에 대한 가족치 료의 역할에 대해 검토하였다. 셋째, 이혼 후 적응기에서는 정서 회복 과정과 이혼 후 적응 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및 이혼 후 적응과 관련된 치료 기법들에 대해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이혼하는 가족들을 위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혼센터에 대해 살 펴보았다. 이혼센터는 교육과 실용적 지침, 상담을 주 업무로 하는 기관으로 이혼에 대한 총 체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혼치료의 주목적은 결혼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가족의 부부관계를 회복시키는데 있다기보 다는, 이혼이 불가피한 부부가 보다 건설적인 방식으로 이혼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개인 과 가족이 보다 만족스러운 생활을 위한 변화로서 이혼을 경험하도록 돕는데 있다. 최근 우 리사회에서는 세 쌍 중 한 쌍이 이혼을 하고 있지만 아직 이혼을 보는 관점은 부정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가족치료의 영역은 가족관계를 강화시키는 역할에서 나아가 보다 건설적인 가족해체 및 재결합과정에까지 서비스를 확장할 때이다.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Divorce Decision-Making Therapy
III. Restructuring
IV. Post-Divorce Recovery
V. Comprehensive Divorce Treatment Center
Reference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주. (1999).이혼 치료 : Therapeutic issues in divorcing process.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7 (2), 75-95

MLA

전영주. "이혼 치료 : Therapeutic issues in divorcing process."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7.2(1999): 75-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